“기업 가입 활성화 위한 정책 지원 필요”
SK텔레콤 해킹 사고가 알려진 지 며칠 만에 콜센터 용역업체와 법인보험대리점(GA)에서도 해킹 정황이 포착되면서 사이버 보안 우려가 다시 고조되고 있다. 실제 사고가 발생했을 때 기업이 영업 피해를 회복하고 보안 시스템을 재정비할 수 있으려면 사이버보험이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해외에선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사이버보험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인 반면 국내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재보험사 뮤니크리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사이버보험 시장 규모는 153억달러(약 22조원)로 추정되며, 2032년 320억달러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국내 사이버보험시장 규모는 공식 집계가 없지만 연간 수입보험료가 세계 시장의 0.2% 수준인 500억원으로 추정된다. 국내 보험산업이 세계 7위 규모인 점을 고려하면 초라한 실적이다.
업계에선 국내 사이버보험 시장이 의무보험을 중심으로만 형성되고, 사이버 공격에 대한 기업들의 경각심도 낮아 해외보다 사이버종합보험의 가입 및 매출이 저조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19년 정보통신망법 개정으로 개인정보 수 1000명, 매출액 5000만원 이상 기업에 대해서는 개인정보보호배상책임보험 가입이 의무화됐지만 대부분의 기업은 최소한의 의무보험만 가입하고 기업 휴지 손해, 데이터 복구비용, 법률비용 등 모든 위험을 종합적으로 담보하는 사이버보험은 잘 가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일본처럼 사이버보험에 가입한 기업에 보험료 할인, 입찰 시 가산점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기업의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