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광장 ‘도심 속 정원’으로 확 바뀐다

입력 : 2025-04-28 19:40:47 수정 : 2025-04-28 19:40:4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시, 21년 만에 새 단장

소나무·느티나무 있는 휴식 공간
광장 주변 화분·포토존 등 설치
바닥엔 난지잔디 “탄소저감 기대”

서울시의 랜드마크 ‘서울광장’이 21년 만에 새 단장했다. 소나무·느티나무 숲과 곳곳에 정원을 조성해 뉴욕 맨해튼의 ‘매디슨 스퀘어 파크’처럼 도심 속 녹색 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서울광장을 숲과 정원의 개념을 더한 녹색공간으로 탈바꿈해 시민들에게 28일 공개했다. 서울광장은 2004년 5월 기존 차도를 걷어내고 잔디를 깔아 광장으로 조성했다. 2002년 한일월드컵 이후 거리 응원의 메카로 자리 잡은 시청앞 광장에 대한 시민 제안을 반영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은 물론 관광객들에게도 큰 사랑을 받았지만, 광장의 그늘과 휴식공간이 부족해 한정적 기능만 해 온 것도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녹색 힐링하세요” 서울 중구 서울도서관 앞 서울광장이 조성 21년 만에 새 단장해 개방된 28일 시민들이 서울광장 주변을 지나고 있다. 이재문 기자

서울시는 광장에 2023년 식재한 광장 양쪽 24그루의 소나무에 더해 아름드리 느티나무 6그루를 추가로 심어 시민들에게 휴식공간과 녹음을 선사한다. 나무 하단에는 다양한 꽃과 나무로 채워진 일명 ‘한뼘 정원’으로 꾸몄다. 광장 주변에는 산단풍, 마가목 등 이동이 가능한 화분 300여개를 배치한다. 광장 한편에는 거울에 비친 서울시청을 배경으로 기념촬영을 할 수 있는 ‘정원형 포토존’도 설치한다.

광장 바닥도 자연 친화적으로 바꿨다. 다양한 행사로 훼손과 복구가 반복됐던 잔디는 기후 특성에 맞는 난지형잔디로 교체했다. 잔디 사이에는 목재길을 조성해 잔디 보호와 경관도 개선했다. 21년간 답압(踏壓·밟아 눌러 토양이 침식되고 단단하게 눌린 현상) 등으로 불량했던 배수체계 등 시설도 정비해 잔디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서울시는 이번 개선으로 연간 약 331.92t의 탄소저감 효과도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는 하반기에는 2차 개선에 나설 예정이다. 올해 11월부터 광장 동쪽에 느티나무 플랜터(나무주변 쉼터) 6개소를 추가로 조성하고 정원 주변에는 앉음벽(걸터앉아 쉴 수 있는 조형물)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수연 시 정원도시국장은 “서울광장을 단순 행사 관람과 참여의 공간을 넘어 문화와 예술을 누리면서 오래 머물 수 있는 휴식의 공간으로 변화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