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산림청 "대구산불 오늘 진화"…삼국시대 유적 팔거산성 주변 피해

입력 : 2025-04-29 10:26:59 수정 : 2025-04-29 10:32: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진화율 92%·잔여 화선 2㎞…비닐하우스 4개동 등 일부 불에 타
"발화 지점에 남아있는 산불 증거 전무…수사 진행해야"

이틀째를 맞은 대구 북구 함지산 산불 진화율이 90%대까지 오르며 29일 중 주불 진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산불영향구역은 260㏊, 전체 화선 11㎞ 중 잔여 화선은 0.9㎞다.

대구 대형 산불 발생 이틀째인 29일 대구 북구 산불 현장으로 헬기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임하수 남부지방산림청장은 이날 오전 9시 북구 서변초등학교 조야분교장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오늘 중 주불 진화를 목표로 진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불 현장 통합지휘 본부장인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다행히 산불이 민가로 번지지 않았다"며 "피해를 본 주택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권한대행은 "도심 산불 진화 특성을 감안해 열화상 드론을 투입했다"며 "현재까지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화세가 강한 망일봉 일대에 진화 헬기를 집중하여 투입했으며 주택가에 산불지연제를 뿌리고 있다"며 "화세가 약한 노곡동과 조야동 일대에서는 잔불 진화대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불로 비닐하우스 4개동 일부가 탔으며, 트렉터와 이양기 등 7대가 불에 모두 타거나 일부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

 

산림당국은 일출 때부터 헬기 53대, 인력 1천551명, 장비 205대를 투입해 산불을 진화하고 있다.

 

이번 산불 발화 원인은 미궁에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김상희 대구 북구 공원녹지과장은 "현재까지 발화를 추정할만한 증거가 전혀 남아있지 않다"며 "관련 CCTV(폐쇄회로) 영상은 노곡동 마을 입구에서 산으로 올라가는 길에만 있다"고 밝혔다.

 

산림당국에 따르면 산불 최초 신고자는 발화 지점과 상당 거리 떨어진 농가 관계자였다.

 

최초 산불 발화지점은 등산로가 아닌 입산 통제 구역이었으며, 산불 진화 도중 현장 보존이 어려웠던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시는 앞서 지난 1일자로 지역 주요 산에 대해 입산통제 긴급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다.

 

산림 당국은 "자연발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수사를 진행해야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산불 불길은 유형 문화재인 팔거산성 일대를 한차례 지나간 것으로 추정됐다.

 

팔거산성은 북구 노곡동 함지산 정상에 있는 삼국시대 산성 유적이다.

 

대구에 남은 산성 유적 가운데 비교적 외형이 완전하며, 2023년 6월 사적으로 지정됐다.

 

산림당국 관계자는 "산성 자체가 돌로 축조돼 산불로 인한 직접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츄 '상큼 하트'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