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7> 인류 구원의 민족적 기대와 독생녀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 그 선택받은 여정]

관련이슈 참사랑 , 한민족 대서사시

입력 : 2025-09-19 10:59:52 수정 : 2025-09-19 11:19:18
정성수 종교전문기자hulk19838@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하늘을 모신 역사 새 시대의 징표가 되다

 

‘민족 선민 대서사시’에는 한민족에서의 ‘독생녀(獨生女)’ 출현이 언급된다. 생소한 개념이지만 ‘오직 하나뿐인 여성’이라는 뜻이다. 기독교에서 예수를 ‘하나님의 독생자(獨生子)’라 부르는 것과 짝을 이뤄 그에 상응하는 하늘부모님이 보낸 유일한 여성적 구원의 주체로 정의된다.

 

이 책은 한민족을 독생녀를 맞이할 준비된 선민으로 규정하고, 그 역사 속에 축적된 신앙과 기다림이 마침내 독생녀의 탄생으로 결실을 맺는다고 서술한다. 독생녀는 어떤 논리로 뒷받침되고, 독생녀를 맞이 할 민족적 기대는 어떻게 조성돼 왔는지 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하늘부모님의 여성적 구원의 실체

 

독생녀라는 말이 지금 시대에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듯 독생자라는 말도 2000년 전, 유대지역이 로마제국의 속주시대 상황에서는 굉장히 위험한 발언이었다. 성서에 따르면 예수는 공생애 동안 안식일 규례를 넘어 병자를 고치고, 성전을 정화하며, 자신을 하나님의 아들이자 그리스도라 증언했다. 이러한 말씀과 행동은 당시 종교 권력을 쥔 대제사장과 바리새인, 사두개인들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그들은 산헤드린 공회를 열어 예수를 신문했고, 대제사장이 “네가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냐”라고 묻자, 예수는 “네가 말하였도다”(마태복음), “내가 그니라”(마가복음), “너희들이 내가 그라고 말하고 있다”(누가복음)라고 대답했다. 예수의 발언은 곧 신성모독으로 간주되어 사형에 해당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당시로서는 누구도 수긍하기 어려운 발언을 예수가 위험을 감수하고 한 까닭은 무엇일까.

예수는 단순히 지위를 주장한 것이 아니다. 하나님의 뜻을 수행하기 위해 이 땅에 온 존재임을 드러낸 발언이다. 즉, 인류 구원을 이루는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밝히는 신학적 선언이자 자신의 고난·죽음·부활·재림까지 포괄하는 구속적 계획을 예고한 말씀이었다.

 

‘한민족 선민 대서사시’를 비롯해 관련 자료들은 한민족이 쌓아온 신앙과 기대가 독생녀의 출현으로 결실을 맺는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여기서 독생녀는 단순한 여성 존재를 넘어 인류 구원을 위한 하늘부모님의 특별한 사명을 수행하는 신적 주체로 이해된다.

 

신학자 양순석 박사는 그의 저서 ‘기독교의 본질과 독생녀’(신세림출판사)에서 “독생녀는 원죄 없이 태어난 하늘부모님의 딸로서, 인류 구원을 위한 하늘어머니의 사명을 수행한다”며 “성경은 이러한 독생녀의 출현과 역할을 여러 곳에서 예시한다”고 설명했다. 성경 아가서 6장 9절에서는 “내 비둘기, 내 완전한 자는 하나뿐이로구나. 그는 그의 어머니의 외딸이요”라고 기록함으로써 독생녀의 유일성과 완전성을 드러내며, 계시록 22장 17절의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는 구절은 독생녀가 성령의 실체로서 인류에게 생명수를 베풀고 구원의 길을 열어주는 존재임을 시사한다고 서술함으로써 신학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양 박사에 따르면 독생녀는 하늘부모님의 여성성을 완전히 실체화한 존재로서, 인류의 영적 중생과 실체적 중생을 동시에 완성한다. 그녀의 사명은 하늘부모님과 인간 사이의 본연의 부모자녀 관계를 회복하는 혈통복귀의 과정과 직결되며, 시대를 거쳐 점진적으로 발전해온 구원섭리를 독생녀의 출현으로 완성 단계에 이르게 한다. 이를 통해 인류는 하늘부모님의 직계 자녀로 거듭나는 길이 열리며, 독생녀는 구원의 결정적 주체로 자리매김한다.

 

이를 종합하면 독생녀의 출현은 단순한 신학적 사건을 뛰어넘어 인류 구원과 혈통복귀의 완성을 위한 결정적 과정으로 이해된다. 혈통복귀는 인간이 타락으로 잃어버린 하늘부모님과의 원래 부모·자녀 관계를 회복하는 과정이며, 시대에 따라 점진적으로 전개되어 온 하늘부모님의 구원섭리 가운데 독생녀의 출현으로 완성 단계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한민족은 독생녀 탄생을 위해 역사적·신앙적으로 준비된 선민이며, 독생녀의 출현은 한민족과 인류, 나아가 하늘가정 회복의 완성적 사건으로 자리매김한다. 즉, 한민족의 역사와 문화 속에는 독생녀를 맞이할 준비와 조건이 이미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유교 국가와 성리학의 기틀

 

그렇다면 독생녀 탄생을 위해 한민족은 어떠한 준비를 해 왔을까. 한민족은 세계 여러 종교와 사상을 역사 속에서 수용하고 창조적으로 융합해 왔다. 이 다양성과 융합의 전통은 ‘독생녀’와 ‘재림메시아’ 탄생을 향한 민족적 기대가 형성되는 중요한 토양이 되었다. 불교·유교·기독교·민족종교 등은 한민족의 삶과 문화 깊숙이 뿌리내리며, 시대마다 영적·도덕적 지도자들을 배출해 공동체의 정신을 이끌었다.

 

한민족은 하늘부모님을 모시는 사상과 생활을 전통으로 삼아 세계적인 종교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꽃피웠다. 불교는 삼국시대에 전래되어 고려에서 크게 번성하며 한민족을 대표하는 종교의 하나가 되었고, 수행 전통을 통해 정신·문화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신라의 최치원(857~908년 이후)은 유·불·선에 대한 깊은 이해로 통합사상을 제시했으며, 원효와 의상은 각각 화쟁사상과 화엄종을 주창해 불교의 통합과 체계를 세웠다. 조선의 서산·사명대사는 국난에 승병을 이끌었고, 일제강점기의 한용운은 불교 유신론과 독립운동으로 타락한 불교를 개혁하고 민족 정체성 수호에 힘썼다.

 

유교는 조선의 국가 이념으로 사회의 도덕과 질서를 지탱했다. 정도전(1342~1389년)은 유교에 입각해 새 국가의 기틀을 단단하게 세웠다. 이황(1501~1570년)은 ‘이기이원론’ ‘이발이기수지’ ‘사단칠정론’을 전개하고 ‘성학십도’로 성리학을 집대성했으며, 서원 교육과 경(敬) 실천으로 ‘하늘부모님을 모시는’ 삶의 모범을 보였다. 이이(1536~1584년)는 ‘이기일원론’ ‘기발이이승지’로 기(氣) 중심 성리학을 발전시키고 ‘격몽요결’로 수양법을 보급하여 개성완성의 길을 제시했다. 효가 가정을 넘어 사회·국가 질서의 기반으로 확장된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애민을 현실화한 실학이 전개되었다. 유형원(1622~1673년)·이익(1681~1763년)은 사회 개혁을 제안했고, 정약용(1762~1836년)은 서학과 기독교의 수용 속에 인격적 상제를 도덕 주체로 회복하는 동시에 ‘목민심서’ 등으로 민생 개선을 도모했다. 이러한 애민정신은 건국이념 홍익인간의 연속이자, 목화씨를 들여와 민중의 의복을 향상시킨 문익점(1329~1398년)과 사재로 다리를 놓은 조한준 등 선조들의 실천으로 이어졌다.

 

◆실학·애민으로 홍익인간 구현하다

 

한민족은 유·불·도를 수용하면서 정통을 보존하고 회통·일치를 지향해 조화로운 사상 기반을 이루었다. 불교는 구도를 통한 마음의 자유를, 유교는 윤리의 사회적 구현을, 도교는 자연과의 합일을 강조했다.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되 유·도와 공존했고, 조선도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으면서 불교·도교의 영향을 유지했다. 정치적 갈등 속에서도 하늘 중심의 조화라는 큰 틀 아래 배제보다 융합을 택했던 것이다.

 

동학은 이 전통을 이으며 서양 기독교의 영향 속에 등장했다. 최제우(1824~1864년)는 유·불·선 통합 위에 제세구민의 뜻으로 1860년 무극대도를 받아 민족 고유 신앙인 동학을 창도했다. 시천주와 “천심즉인심, 오심즉여심(天心卽人心, 吾心卽汝心)”의 가르침으로 하늘과 인간 마음의 합일을 설파했다. 손병희는 동학을 천도교로 개명하고, 인내천(人乃天)을 종지로 삼아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 지상천국의 이념을 제시했다.

 

이어 나철의 대종교, 강일순의 증산교, 소태산 박중빈의 원불교 등 민족종교가 등장해 한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을 보전하며 새로운 참된 세계를 지향했다. 이들은 민족의 단결과 영성을 강조하며 역사 속 종교운동의 중심을 자임했다.

 

인도의 시성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하늘부모님을 모셔 온 한민족은 깊은 종교심과 문화 전통 위에서 부흥해 세계의 등불이 될 것”이라 노래했다. 일제강점기 그의 시 ‘동방의 등불(The Light of the East)’은 한민족의 독립 소망과 미래 비전을 일깨우며, 훗날 ‘독생녀’ 강림의 날 한민족이 아시아의 등불이자 세계 평화의 중심이 될 것임을 상징한다.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 시절에/빛나던 등불의 하나인 코리아/그 등불 다시 한 번 켜지기를 간절히 바라노라/그 등불 한 번 다시 켜지는 날에/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타고르)

 

◆다종교 회통과 민족종교의 부흥

 

요컨대, 한민족은 세계사에서도 보기 드물게 다종교 공존과 상생의 가치를 성숙시켜 왔다. 그 과정에서 개인·가정·사회 차원의 구원, 그리고 초종교적 일치와 통합의 문화가 민족적 차원에서 형성되었다. 이를 통해 하늘부모님은 한민족의 종교적 전통 위에서 세계 모든 종교가 화합과 통일을 이루어 갈 전통과 기반을 준비해왔다. 이러한 역사적·영적 토대 위에서 한민족은 ‘독생녀’와 ‘재림메시아’의 탄생을 고대하는 민족적 기대를 성숙시켜 온 것이다.

 

‘왜 다종교의 공존이 특정한 ‘독생녀’ 기대와 연결되는가’라고 하는 반론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한민족의 전통은 특정 교리의 배타적 우위를 선언하기보다 하늘 중심의 회통을 통해 구원의 완성과 새 시대의 개벽을 모색해 왔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초종교적 기대가 ‘독생녀’ 탄생을 보편 구원의 완성 사건으로 이해하도록 이끈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
  • 손예진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