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동안 소득이 늘어 계층(소득분위)이 상승한 국민은 10명 중 단 2명 선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자와 저소득자의 지위 유지율이 여전히 높아 소득으로 인한 계층 이동은 여전히 어려운 것이다.
국가데이터처는 27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소득이동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내용을 보면 2023년 소득분위 이동성은 34.1%로, 전년보다 0.8%p 하락했다. 나머지 65.9%는 전년과 같은 분위에 머물렀다. 소득이동성은 3년 연속 하락세다.
이런 결과는 그만큼 사회 전체의 이동성이 줄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전반적인 경기 둔화와 함께, 이동성이 낮은 노년층 비중이 전년 대비 늘고(0.8%포인트(p)), 이동성이 높은 청년층 비중이 줄어든(-0.8%p)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하향 이동(-0.5%p) 감소폭이 상향 이동(-0.3%p)보다 커, 소득 하락의 방어망은 비교적 견고해졌다는 게 국가데이터처의 분석이다.
2023년 소득분위별 유지율을 보면 고소득층인 5분위가 85.9%로 가장 높았다.
2022년 5분위였던 사람 10명 중 9명 가까이가 이듬해에도 같은 지위를 유지했다는 의미다. 이는 진입은 어렵지만, 일단 상위계층에 들면 하락 가능성이 적다는 점을 보여준다.
저소득층인 1분위 유지율은 70.1%로 5분위 다음으로 높았다. 하위 20% 국민 10명 중 7명이 이듬해에도 같은 계층에 머물렀다는 뜻이다.
중산층인 4분위와 3분위 유지율은 각각 66.0%, 56.0%, 2분위는 51.4%였다.
상향 이동은 소득이 높을수록 어려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2023년 상향 이동 비율은 1분위(-1.0%p), 2분위(-0.7%p)는 줄고, 3분위(0.1%p), 4분위(0.3%p)는 늘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15∼39세) 이동성이 40.4%로 가장 높았으며, 중장년층(40∼64세) 31.5%, 노년층(65세 이상) 25.0% 순이었다.
청년층은 상향 이동률 23.0%, 하향 이동률 17.4%로 상승이 우세했지만, 청년층의 저소득층(1분위)의 탈출률은 전년 대비 1.7%p 감소한 38.4%로 나타났다.
노년층의 경우 1분위 유지율이 38.4%로 가장 높았으며, 청년층은 4분위(16.7%), 중장년층은 5분위(23.1%)에서 유지율이 높았다. 이는 가난한 노년층이 빈곤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현실을 보여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의 상향 이동률은 16.6%, 여성은 18.1%로 여성이 더 높았다.
여성은 노동시장 진입·이탈이 잦고, 육아휴직 후 조기 복귀 등으로 경제활동을 지속하는 경우가 늘면서 이동성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남성은 5분위(27.9%), 4분위(23.3%) 비율이 높았고, 여성은 1분위(26.2%), 2분위(23.8%), 3분위(23.3%)에서 많아 남녀 간 소득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통계에서 소득은 개인의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합으로, 가구소득이나 재산·이전소득은 포함되지 않는다.
국가데이터처는 “소득 하위 분위에 속하더라도 가구 전체 소득이 높거나 다른 형태의 소득이 많을 수 있어, 단순히 빈곤층으로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