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 낙관론 우세...”내년 5000달러까지 간다”
글로벌 금값이 일주일 만에 9% 넘게 하락하며 온스당 4000달러 선이 무너졌다.
 
 
            2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금 현물 가격은 7주간 27% 급등해 지난 20일 온스당 438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최근 일주일 간 9% 이상 급락해 이날 장중 한때 온스당 3980달러까지 밀려나따.
업계는 이번 하락을 단기 투기세력의 포지션 청산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하락은 “지속 불가능한 랠리에 대한 건전한 조정”으로 보고, 향후 몇 주간 더 깊은 하락세가 이어질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존 리드 세계금협회(WGC) 시장전략가는 “현재보다 더 큰 폭의 조정이 오히려 환영받을 일”이라며 “지금의 가격 수준은 업계 누구도 지속 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글로벌 금 거래은행의 고위 임원은 “금값이 이렇게까지 오른다고 믿은 건 제정신이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금값이 급등한 이유는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각국의 높은 부채 수준, 달러화 약세에 대한 헤지 수요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IMF(국제통화기금)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중앙은행들은 외환 보유고 다변화를 위해 금 매입을 늘려왔지만, 최근 가격 급등으로 매입 속도는 다소 둔화했다.
업계에서 금의 장기 상승에 대한 신뢰는 여전하다. 최근 급격한 상승으로 일부 조정을 받았을 뿐 상승 흐름 자체는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HSBC·뱅크오브아메리카·소시에테제네랄 등 주요 은행들은 내년 금값이 온스당 50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추가 하락 가능성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리드는 “3500달러 수준까지 내려가는 것이 오히려 시장에 건강한 조정이 될 수 있다”며 “그 정도 가격도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LBMA의 루스 크로웰 최고경영자(CEO)는 “금은 여전히 견조한 상승 흐름을 타고 있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류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이것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새로운 국면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