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건희가 뭡니까"...尹, '여사' 호칭 생략 검사에 역정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31 14:49:49 수정 : 2025-10-31 14:49:48
홍윤지 기자 hyj@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수사기관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 등으로 특검에 의해 추가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한 달 만에 재판에 나와 비상계엄 이후 대통령경호처에 비화폰 서버 삭제를 지시했다는 혐의를 부인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영장 집행 시도를 앞두고 김성훈 당시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김건희씨가 나눈 텔레그램 메시지가 법정에서 공개된 가운데, 윤 전 대통령은 배우자 김건희씨를 ‘여사’ 호칭 없이 지칭한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 검사에게 “김건희가 뭡니까”라며 불만을 표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연합뉴스

◆尹, 비상계엄 이후 비화폰 통화 내역 삭제 의혹 ‘부인’

 

서울중앙지법 형사35부(재판장 백대현)는 31일 윤 전 대통령의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 사건 5차 공판을 진행했다. 전날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약 넉 달 만에 출석한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재판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윤 전 대통령이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재판에 출석한 건 한 달 만이다. 보석 심문이 진행된 지난달 26일 첫 공판에 출석했으나 보석 청구가 기각되자 이후 공판에는 세 차례 연속 불출석했다.

 

이날 공판에는 핵심 증인인 김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김 전 차장은 1월3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공수처의 1차 체포영장 집행 저지를 주도하고 2차 영장 집행 저지도 지시한 혐의도 받는다. 주요 증인인 김 전 차장이 증인으로 출석한 만큼 윤 전 대통령이 직접 발언을 해 방어권을 행사하기 위해 이날 재판에 출석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검 측은 증인신문에서 “김대경 전 경호처 지원본부장이 지난해 12월7일 비화폰 전자 정보 삭제 지시를 받았다고 했다”며 김 전 차장에게 경위를 캐물었다. 이에 김 전 차장은 “삭제 지시를 할 이유가 없고, 수사 과정에서도 그렇고 지금도 상대방 휴대전화에 찍힌 번호를 지울 수 있는 기능이 있을까 의심한다”며 “(비화폰 전자 정보는) 삭제할 수 없다”고 부인했다.

김성훈 전 대통령 경호처 차장이 31일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의 특수공무 집행방해 등 혐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서 김 전 차장은 지난해 12월 7일 윤 전 대통령이 전화로 비화폰 운영 규정을 물은 뒤, 재차 전화해 ‘수사받는 사람들 말이야. 그 비화폰 그냥 놔두면 되겠어? 아무나 열어보는 게 비화폰이냐. 조치해야지’라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이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에 대한 비화폰 보안 조치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특검은 ‘지난해 12월 8~9일 김 전 본부장에게 비화폰 통화내역 삭제를 반복적으로 지시했냐’ ‘12월10일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하며 비화폰 관련 얘기를 했냐’며 김 전 차장에게 재차 물었다. 그러자 윤 전 대통령은 “신문과 관련해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재판부에 발언권을 요청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은 “(비화폰은) 이틀 만에 삭제되지 않고 실제 통화 내역이 남아 있었다”며 “비상계엄 이후가 아니라 그전에도 통화 내역이 남아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경호 목적 때문에 상당기간 (통화 내역을) 갖고 있다”며 재차 삭제 의혹을 부인했다.

 

◆영장집행 앞두고 김건희 “V가 걱정한다” 김성훈 “걱정마십시오”

 

이어진 증인신문에서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저지 지시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김 전 차장과 김건희씨가 주고받은 텔레그램 메시지를 제시했다. 

 

특검 측은 “압수수색에 대해 피고인이 우려한다는 취지의 말을 당시 영부인이던 김건희가 피고인에게 텔레그램으로 말하는 내용이 있고 텔레그램을 주고받은 시기가 12월경으로 확인된다”며 “그 당시 피고인은 압수수색을 저지하려는 인식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메시지에 따르면 김건희씨가 김 전 차장에게 ‘V(윤 전 대통령)가 영장 집행 들어오는 것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하자, 김 전 처장은 ‘걱정하지 마십시오. 압수영장이나 체포영장은 끝까지 막아내겠다’고 답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탑승한 호송차량이 지난 30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도착하고 있다. 뉴스1

그러자 윤 전 대통령은 “제 아내가 궁금하고 걱정돼서 문자를 넣었는지 모르겠지만, 검찰에 26년 있으면서 압수수색 영장을 수없이 받아봤다”며 “수사기관에서 국군통수권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들어와서 압수수색을 한다는 건 우리나라 역사에 없는 일이다. 제가 이것(관저 압수수색)을 가지고 걱정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경호처) 차장은 2년 이상 근무했기 때문에 통화도 많이 하고 산보 갈 때도 연락해서 오라고 하고 제가 관저에 혼자 있으면 점심 먹으러 오라고도 하고 그런 관계이니 바로 전화하는 것이고 야단도 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건희씨의 메시지는 영장 집행을 저지하라는 의미가 아니었다는 취지다.

 

윤 전 대통령은 김건희씨를 지칭하며 ‘여사’ 호칭을 생략한 특검팀 검사를 향해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그는 “아무리 (대통령직을) 그만두고 나왔다고 해도 김건희가 뭡니까”라며 “뒤에 여사를 붙이든지 해야지”라고 쏘아붙였다.

 

이에 재판부는 “그정도로 하시라”며 윤 전 대통령의 발언을 제지한 뒤 “관련성이 전혀 없다고 보이지 않는다”며 특검 측의 메시지 제시를 허가했다. 이에 특검 측은 “영부인이던 김건희 여사와”라고 호칭을 수정한 뒤 증인신문을 이어 진행했다.

 

김 전 차장은 “당시 영부인께서 문자를 주신 건 연약하시고 걱정되니까 진행상황이, 가능 여부가 궁금한 나머지 저한테 물어보신 것”이라며 “당장 걱정하시니 '걱정하지 마십시오'라는 차원에서 문자를 주고받은 것”이라고 증언했다. 구체적으로 검토하란 지시는 아니었다는 주장이다.


오피니언

포토

[포토] 윈터 '깜찍하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