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울증 등 정신건강 개선을 위해 비타민C를 복용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일부 연구에서 비타민C가 우울 증상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되면서다. 과연 그럴까. 국내 연구진은 비타민C와 우울증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결론 지었다.
강북삼성병원 서울건진센터의 박성근, 정주영 교수팀은 2013∼2018년 이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중 우울 증상이 없는 9만1113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정신생물학'(Neuropsychobiology)에 게재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설문지를 통해 식품을 통한 비타민C 섭취량을 조사하고 섭취량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평균 5.9년간 추적 관찰해 우울 증상 발생 위험을 평가했다.
그 결과 비타민C를 가장 적게 먹는 그룹과 비교해 그보다 많이 먹는 그룹들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우울 증상 발생 위험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영양제를 통해 비타민C를 복용하는 사람들 역시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우울증 위험이 낮아지지 않았다.
박성근 교수는 “비타민C가 항산화 등 전반적인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지만, 정신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비타민C의 효과에 대해 과도하게 기대하거나 권고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며 다만 “장기적인 효과나 다른 정신건강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비타민C의 효능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황산화제로의 기능과 콜라겐 생합성, 면역 기능 향상 등의 중요한 기능이 있다. 우리가 비타민C를 꼭 섭취해야 하는 이유이다. 비타민C는 인체에서 합성의 기능을 가진 효소인 굴로노락톤산화효소 (gulonolactone oxidase)가 체내에서는 합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필수영양소로 분류된다. 수용성 비타민C는 체내 저장량이 적다. 성인의 경우 최대 1만5000~2000mg을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저장량이 적어 300~400mg 이하면 괴혈병 증세가 나타난다. 그래서 어느 정도 비타민C를 꼭 섭취해 줘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