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가 “中 최대 경쟁국” 응답
가격 경쟁력·정부 지원 등 앞서
“中, 업종 절반 이미 역전” 평가도
기업 경쟁력 강화 정부 지원책
‘대외리스크 최소화’ 가장 선호
자동차와 반도체, 철강, 선박 등 한국의 10대 수출 업종 기업 경쟁력이 5년 내 중국에 모두 뒤처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중국은 가격경쟁력과 정부 지원, 첨단 기술에 필요한 전문인력, 핵심기술 등에서 한국보다 앞선 것으로 평가됐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10대 수출 업종 매출액 1000대 기업(200곳 응답)을 대상으로 실시해 공개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를 보면 응답 기업들은 수출 최대 경쟁국으로 중국(62.5%)을 가장 많이 꼽았다. 미국이 22.5%, 일본이 9.5%로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중국과 경쟁이 심해질 것으로 봤다. 2030년 수출 최대 경쟁국으로 중국을 꼽은 기업들은 68.5%로 늘었고, 미국은 22.0%, 일본은 5%로 소폭 줄었다.
우리 기업들은 국내 기업 경쟁력이 미국과 중국에 뒤처졌고, 5년 후에는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의 기업 경쟁력을 100으로 봤을 때 현재 미국과 중국의 기업 경쟁력은 각각 107.2, 102.2로 한국을 앞섰다. 2030년에는 미국 112.9, 중국 112.3으로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봤다. 한경협은 “국내 기업들은 5년 후 중국의 기업 경쟁력이 미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봤다”고 밝혔다.
한국의 10대 주요 수출 업종 중 절반은 중국 기업보다 경쟁력이 낮고, 나머지 절반도 5년 안에 중국에 역전될 것으로 예상됐다. 설문조사에서 중국은 철강(112.7·한국 100 기준)과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5개 업종에서 한국보다 경쟁력이 높았다. 반도체와 전기·전자, 선박, 석유화학·제품, 바이오·헬스 5개 업종은 한국이 앞선 것으로 분석됐지만 2030년에는 이들 업종 모두 중국 경쟁력이 한국보다 높아진다는 것이다. 가전 업계 한 관계자는 “고급화 전략으로 중국과 차별점을 부각하고 있지만 중국 기술 발전 속도가 워낙 빨라 프리미엄 시장도 안심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분야별 기업 경쟁력을 보면 중국은 상품브랜드를 뺀 가격경쟁력과 생산성, 정부 지원, 전문인력, 핵심기술이 한국보다 높다고 평가됐는데, 상품브랜드마저도 5년 안에 역전된다는 답변이 다수였다. 한국과 비교해 중국의 전문인력과 핵심기술 경쟁력은 5년 뒤 각각 10.4, 9.6 높아져 다른 분야보다 상승 폭이 컸다. 미래 첨단 산업 경쟁력에서 중국과 차이가 더 벌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기업들은 경쟁력을 높이는 데 걸림돌로 ‘국내 제품경쟁력 약화(21.9%)’와 ‘대외리스크 증가(20.4%)’를 꼽았다. 이어 인구 감소 등에 따른 내수 부진(19.6%), 인공지능(AI) 등 핵심기술인력 부족(18.5%), 낙후된 노동시장·기업 법제(11.3%) 등 순이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지원으로는 대외리스크 최소화(28.7%)와 핵심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18.0%), 규제 완화를 비롯한 경제 효율성 제고(17.2%), 미래기술 투자 지원 확대(15.9%) 등을 요청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원잠 vs 핵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32.jpg
)
![[주춘렬 칼럼] 韓·美 관세협상의 그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11.jpg
)
![[기자가만난세상] ‘인간 젠슨 황’의 매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85.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섬길 줄 알아야 신뢰를 얻는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38.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