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 ‘뺑뺑’ 심정지 온 뒤에야 수용…끝내 숨져
부산의 한 거리에서 쓰러진 채 발견된 고등학생이 응급치료 병원을 찾지 못해 숨진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지역 소아 의료의 공백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8일 부산시 소방재난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오전 6시17분쯤 부산의 한 고등학교 근처 길에서 이 학교에 다니는 학생 A군이 경련 증세를 보이며 쓰러졌다. 지나가던 시민이 이를 발견해 119에 신고했고, 119구급대는 신고 16분 만인 새벽 6시33분쯤 현장에 도착했다
당시 A군은 의식이 혼미했지만 호명하면 반응할 수 있을 정도의 상태였다. 구급대는 병원 이송을 위해 A군을 구급차량에 태운 뒤 부산의 대형병원들에 연락했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대형 병원 4곳은 소아신경과와 관련한 배후 진료(응급치료 뒤 진료)가 어렵다는 이유로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급대는 부산소방재난본부의 구급상황관리센터에도 이송 가능한 병원을 알아봐 달라고 요청했다. 구급상황관리센터는 부산의 대형 병원 등 8곳과 경남 창원에 있는 병원까지 이송 가능 여부를 알아봤다. 이 과정에서 약 1시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결국 A군은 의식을 잃었고 심정지 상태에 이르렀다.
구급대원은 A군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가장 가까운 병원으로 향했다. 지난해 2월 부산시와 응급의료센터장들이 ‘심정지 환자 발생 장소에서 가장 가까운 응급의료기관은 반드시 환자를 수용한다’는 방침에 따른 조치다. 심정지 5분여 만인 오전 7시35분쯤 병원에 도착했지만, A군은 끝내 숨졌다.
부산 도심 한복판에서 소아과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지 못해 학생이 숨지면서 또다시 소아 의료 공백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지역의 응급 공백이 단순 의사 수 부족 문제가 아니라 수도권 중심 정책 등 의료 시스템 실패에서 비롯한 구조적 문제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조희숙 강원특별자치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은 지난 13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미디어포럼에서 “지역 병원에는 환자가 없고, 환자에게는 병원이 없다는 역설은 모순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의 결과”라며 “건강보험 체계 안에서 시장 논리에 방치돼 고사한 취약지에는 일회성 사업비나 단순 수가 가산을 넘어 핀셋형 집중 지원이 필요하다. 중장기적으로는 환자의 의료이용 체계를 재설계하고 지역의 진료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는 인력·시설·재정을 함께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원잠 vs 핵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32.jpg
)
![[주춘렬 칼럼] 韓·美 관세협상의 그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11.jpg
)
![[기자가만난세상] ‘인간 젠슨 황’의 매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85.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섬길 줄 알아야 신뢰를 얻는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38.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