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마이닝 전문회사 ‘다음소프트’와 홍보회사 ‘미디컴’이 공동개발, 月 1억건 이상의 트윗 메시지와 블로그 정보 분석
![]() |
◇ 트렌드시크 감성분석 = 신정아(조사기간 : 4월 10일 기준 최근 90일), 트위터 및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신정아씨에 대한 감성어 키워드 순위 및 분포 |
“우리회사 CEO의 온라인 평판은 어떨까?” “우리회사 브랜드는 경쟁사와 어떻게 비교되고 있을까?” “내 트위터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까?” 이 같은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가 등장한다.
텍스트 마이닝 전문 회사인 다음소프트(대표이사 김경서) 와 홍보회사 미디컴(대표 이재국) 은 11일 월 1억건 이상의 트윗 메시지와 블로그 정보를 수집해 소셜여론을 진단하는 ‘트렌드시크(www.trendseek.co.kr)’ 서비스를 공동으로 오픈했다.
‘트렌드시크’는 정치·경제·문화·스포츠·연예인·유명인 등 사회전반의 이슈를 분석하여 트렌드를 진단하는 일반인 대상 무료 서비스와 기업들의 제품과 브랜드, 시장동향, 경쟁사 활동까지 비교 분석해 기업의 소셜마케팅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는 트렌드시크Biz(유료)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날부터 공개된 베타버전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이며, 기업 대상의 정식서비스는 4월말에 공개될 예정이다.
이 기술은 기존의 포털 검색기술로 찾기 힘든 문서의 숨은 의미와 평판을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찾아주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히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만을 찾아주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사용자의 글을 분석하여 특정 키워드와 연관되는 인식과 주제를 판별하고, 사용자들의 심리상태를 표현하는, ‘좋다’, ‘충격’, ‘부끄럽다’, ‘감각적’, ‘대단’ 등의 감성어 키워드 추출과 해석을 통해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인사이트를 반영한다.
![]() |
◇ 트렌드시크 전체 연관어 분석 = 카이스트(조사기간: 4월 10일 기준 최근 90일), 트위터 및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카이스트에 대한 연관어 키워드 순위 및 분포 |
■사회 이슈와 특정인물에 대한 정보를 생산하는 ‘소셜 인플루언서’ 를 추출해 순위 공개
이날 공개된 베타 버전에서는 ‘카이스트(학생 자살)’, ‘신정아(베스트셀러)’등의 최근 이슈에 대한 소셜여론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로그와 트위터 사용자들의 두 사건에 대한 포스트와 멘션을 찾아내 인물/장소/단체/심리/지역 등 카테고리 별로 관심 키워드를 분류하고, 그 키워드간의 관계성을 해석한다. 또한 동일 이슈에 대해 누가 영향력 있는 이야기를 하는지, 그리고 그들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 전체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 사회의 소셜지성을 찾아내는 ‘소셜 인플루언서’ 서비스도 선 보인다.
‘트렌드시크’는 국내 트위터 사용자들의 소셜미디어 영향력 진단을 통해 국내 사용자로 판별되는 아이디의 개인별 트위터 순위도 제공한다. 트위터의 영향력 판별을 위한 기준에 대한 연구는 여러 측면에서 진행이 되어 왔으며, 단순 팔로어 수 만으로 산정하는 방식이 아닌 소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영향력 지수(확산도·관심도·상호도·활동도·인기도 등) 가 중요하게 인식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서울대 데이터마이닝 연구실과 공동으로 평판 지수를 개발 중이다.
![]() |
◇ 트렌드시크 전체 연관어 분석 = 신정아(조사기간 : 4월 10일 기준 최근 90일), 트위터 및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신정아씨에 대한 연관어 키워드 순위 및 분포 |
■ CEO·기업·제품·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분석, 관심사를 파악해 소셜평판 진단 및 예측 가능
이달 말 공개될 기업대상의 ‘트렌드시크Biz’는 CEO·기업이미지·제품·브랜드에 대한 소셜미디어내에서의 긍정 및 부정 진단을 통해 향후 전개해야 할 소셜마케팅과 커뮤니케이션 방향을 제시한다.
기업과 제품·브랜드·CEO에 대한 이야기를 가장 많이 하고 있고, 가장 영향력 있는 이야기를 생산하는 ‘소셜 인플루언서’가 누구인지 파악하여 그들의 전체 순위를 공개하고, 자사와 경쟁사의 최근 활동을 동일한 조건으로 분석하는 ‘비교탐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트렌드시크Biz서비스를 통해 기업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온&오프라인 캠페인·프로모션·이벤트 등에 대해서도 시장과 소비자의 반응을 스스로 자체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다.
![]() |
◇ 트렌드시크 감성 분석 = 카이스트 (조사기간: 4월 10일 기준 최근 90일), 트위터 및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카이스트에 대한 감성어 키워드 순위 및 분포 |
■ 기업 3,414곳과 브랜드 3,297개를 대상으로 ‘소셜평판지수’ 적용해 랭킹화
‘트렌드시크’는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관심도·호감도·화제성·성장성 등의 4개 평가 항목을 종합하여 산출한 ‘TS지수’를 국내 대표적인 기업 3,414곳과 브랜드 3,297개에 적용해 소셜평판 순위를 제공한다. 온라인에서 소셜미디어 활동이 많고,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확산성이 높은 기업 및 브랜드를 대상으로 평판지수화 공식인 ‘TS지수’을 통해 가전·금융·자동차·생활용품·의료 등 주요 산업별 순위를 제공한다.
트렌드시크 서비스를 총괄하는 다음소프트 이용직 이사는 “소셜미디어상에서 기업을 언급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얘기를’ ‘왜’하고 있는지 알고자 하지만,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손 쓸 겨를도 없이 원치 않은 평판이 형성되고 확산되어가고 있다”며, “트렌드시크는 소셜환경에서의 기업평판을 진단해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하는 것은 물론 기업의 마케팅 기획시 어떤 전략을 구사해야 하는지 명쾌한 솔루션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대한민국 소셜여론지형도’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회사 소개 = 2000년 설립된 다음소프트는 검색 엔진에 사용되는 텍스트 마이닝과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해 분석한 최신 기업과 브랜드, 제품의 평판과 최신 소비 트렌드를 국내 기업들과 기관에 제공해오고 있다. 1997년 설립된 미디컴은 110명의 홍보 전문가들을 보유한 국내 대표 홍보회사로, 세계 최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과 네이버·한국연구재단을 포함해 국내외 100개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 트렌드시크 소개 = 다음소프트와 미디컴이 손을 잡고 문을 연 트렌드시크는 블로그와 트위터에 존재하는 엄청난 양의 문서에서 최신 트렌드와 여론의 동향을 찾아내는 서비스이다다. 일반인용 서비스(B2C)는 소셜 트렌드와 소셜랭킹을, 기업용 서비스(B2B)는 소셜 마케팅 전용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다.
안신길 기자 ejourn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