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통일한국이 주변국 이익에 반하지 않는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며 “주변국들은 동북아에 자주권 가진 큰 나라가 탄생하는 것이 현재의 질서를 흔들고 불안정을 가중시킨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 “주변국의 입장에서 분단이 관리하기 편하다”며 “특정 국가가 우리의 통일을 지지한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의 반대가 가장 큰 변수지만 이는 미·중 관계의 틀 속에서 반대하는 것이고, 미국과 중국의 격차가 계속 줄어들면서 한국의 전략적 가치는 더욱 상승했다. 이를 잘 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실장은 한·미 동맹과 한·중 관계를 대립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꼭 그렇게만 볼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한·미 동맹과 더불어 한·중관계를 강화시켜 나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통일한국이 중국에도 유리하고, 일본과 러시아에도 유리해 동북아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설득하고 이런 확신이 들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통일에 대한 의지가 필요하다”며 “다음 지도자는 통일에 대한 명확한 비전과 확고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실장은 “통일을 하는 데 상대방의 생각에 대해 대응책을 세우는 것도 좋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주변국이 아닌 우리 지도자의 의지”라면서 “과거 동서독의 사례와 달리 한반도 통일은 주변국들의 승인이 아닌 국제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20년간 통일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어 외국에서 한국이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며 “내실 있는 외교가 중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더불어 “호주, 캐나다, 인도 등 중견국과의 외교를 강화해 국제사회에서 통일의 지지세력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를 통해 주변 4국 외교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병욱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