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은 전체적으로 특정 대학 출신 비율이 낮다고 주장하지만, 구체 영역별로는 비율이 높았다. 이미 2004년 감사원 감사에서 출제위원 중 서울대 사대 동문이 41.7%를 차지, 비율을 낮추라는 지적이 있었다. 하지만 올해 출제위원 중 과학탐구 영역에서 10년 전과 비슷한 수치로 집계됐다.
특히 전 영역에서 서울대 석사, 박사 출신까지 합하면 서울대 출신 비율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어, 출제위원 중 교수의 서울대 편중은 더 심각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36명 국어 출제위원은 교수 25명, 교사 11명으로 구성돼 있다. 또 출제위원 36명 중 박사 출신은 26명이고 이중 서울대 박사출신은 10명에 이른다. 교수 위원이 박사들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교수 중 서울대 비율은 더 높아지는 셈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이런 추이라면 교수 중 석·박사까지 포함할 경우 특정 학맥의 비율은 60∼70%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출제위원을 위촉하는 주체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근무자(연구원)의 출신 학교에서도 총 176명 중 서울대 출신이 47명으로 가장 많았다.
수능 출제위원과 검토위원 관련 자료는 업무수행 곤란을 이유로 매년 비공개돼, 지난 20여년간 베일에 싸여 있었다.
그간 전문가들은 특정 학맥이 지배하는 평가원과 평가원이 위촉하는 출제위원·검토위원의 카르텔이 제대로 된 수능 문제 검증을 막았기 때문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해왔다. 평가원은 “영역별로 50%를 넘길 수 없다는 규정을 지키고 있고, 실제로는 규정보다 낮은 20%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보안을 이유로 구체적인 위원 구성은 밝히지 않았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서울에서 내로라하는 대학 나오신 분들은 신뢰할 만한 것 아니냐고 한다면 그건 30년 전 사고”라며 “지난 20여년 동안 전반적 구성을 다 살펴봐야 하며, 그 긴 시간 동안 평가원이 출제위원 인력풀을 다양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평가원 관계자는 “유인책이 없는 상황에서 적정 자격과 세부전공을 모두 종합하면 출제위원을 할 수 있는 인력풀은 좁은 게 현실”이라고 해명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