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현주의 일상 톡톡] 텔레그램, '3달 천하'였나?

관련이슈 김현주의 일상 톡톡

입력 : 2014-12-05 05:00:00 수정 : 2015-02-15 16:41:2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미워도 다시 한번' 카카오톡, 이용자 속속 컴백

#. 직장인 김모(33)씨는 이른바 ‘카카오톡 마니아’였다. 대부분의 소통을 전화나 문자가 아닌 이 메신저를 이용할 정도였고, 지인들에게 선물도 카카오톡 기프티콘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던 중 감청 논란이 불거져 친구들이 독일 메신저인 텔레그램으로 갈아타면서 김씨도 해당 메신저 어플을 설치했다. 초창기엔 텔레그램의 새로운 기능과 디자인에 끌렸지만, 얼마 안가서 다시 카카오톡으로 돌아왔다. 막상 이를 통해 소통을 하는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 김씨는 “약간의 억하심정으로 카카오톡을 삭제했지만 결국 이를 다시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며 “일부 지인은 텔레그램, 라인 등을 쓰지만 그래도 대다수는 국민메신저 카카오톡을 사용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보안성이 높다고 입소문을 타며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하던 독일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이 석 달도 안 돼 찬밥신세가 됐다. 업계에서는 지인이나 친구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인적 소셜 네트워크망인 카카오톡을 이용자들이 쉽게 떠나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5일 이용률 조사업체인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카카오톡 감청 논란이 시작되기 전 텔레그램 이용자는 4만명(9월15일 기준) 수준이었지만, 지난 10월1일 다음카카오 측이 '정부의 감청 요청에 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 172만명(10월13일 기준)으로 치솟았다.

◆ 카카오톡 월 평균 이용자 2600만여명 유지

그러나 같은 달 20일 155만명, 11월3일 113만명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또 사이버 검열·감청 이슈가 카카오톡 실이용자 규모에 영향을 줬는지, 인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카카오톡 월 평균 이용자는 9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약 2600만명 수준을 꾸준히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코리아 관계자는 "감청 논란 속에서 실제로 카카오톡을 탈퇴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등 실질적인 규모 감소는 발생하지 않아 불안감과 부정적인 인식이 실제 이용 거부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지난 9월 정부로부터 카카오톡의 대화내용이 검열받고 있다는 ‘사이버 검열’ 논란에 국내 카카오톡 이용자들이 보안성이 높다고 입소문 난 독일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때 ‘사이버 망명’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나며 큰 이슈몰이를 했다.

◆ 텔레그램, '대안 메신저'가 되기엔 역부족

하지만 이 경우에도 중복 이용자들의 주 메신저는 카카오톡이어서 텔레그램이 '대안 메신저'로 불릴 정도는 아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10월 한달 간 카카오톡과 텔레그램 중복 이용자는 카카오톡을 하루평균 37.4분 이용한 반면, 텔레그램은 2.3분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업계 관계자는 "'사이버 망명'이라고 할 만큼의 카카오톡 실 이용자가 대거 이탈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다"며 "텔레그램이 단기간 내 신규 유입자 확보라는 속도 측면에서는 이목을 끌 수 있지만 이용자가 한달여만에 감소세로 바뀌었고 도달률이 3.9%에 그치는 수준으로 확인돼 텔레그램으로의 대규모 이동인지는 추이를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텔레그램의 부상은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는 '메신저 보안성'도 이용 측면에서의 중요 속성임을 환기시켜주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 사이버 망명 열풍, 찻잔 속 미풍…정부 편의를 위한 규제였단 지적도

한편, 이번 ‘텔레그램 신드롬’은 예외적인 케이스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지금까지 메신저의 흥망성쇠가 기술 발전과 시장의 변화에서 이뤄진 반면 ‘사이버 망명’이라고까지 불렸던 이번 현상은 정치적인 영역에서 촉발됐기 때문. 사람들이 텔레그램을 설치하는 동기는 단순했다. 대화 내용을 저장하는 서버가 해외인 독일에 있어 정부의 압수수색과 감시·사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전문가들은 “텔레그램이 카카오톡의 네트워크 효과를 극복하고 이른바 ‘대세’로 자리잡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면서도 “하지만 정부가 카카오톡의 대화 내용을 압수수색하는 일종의 ‘편의를 위한 규제’가 기업에 얼마나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절감하는 사례가 됐다”고 지적한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안유진 '아찔한 미모'
  • 안유진 '아찔한 미모'
  • 르세라핌 카즈하 '러블리 볼하트'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