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재발굴 조사 일제강점기 발굴된 신라시대 고분인 경북 경주 서봉총(瑞鳳塚) 북쪽 고분(북분)의 장축 길이가 추정치인 36.3m보다 10.4m가 더 긴 46.7m로 확인됐다.
|
두개의 고분이 잇닿아 있는 경북 경주의 서봉총은 북분의 크기가 남분보다 두배 가까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윤온식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봉분의 크기가 무덤 주인의 신분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서봉총이 모자(母子)의 무덤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3일 국립중앙박물관은 서봉총 발굴조사를 통해 북분의 형태가 원형이 아닌 동서 방향의 타원형이며, 축의 길이는 42.2∼46.7m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남쪽 고분(남분)의 장축 길이인 25m보다 두배 가까이 큰 규모다.
|
서봉총 북분의 매장주체부.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이로써 두개의 무덤이 잇닿아 있는 서봉총의 남분과 북분의 크기가 모두 규명됐다. 북분의 적석부(돌로 쌓은 부분)는 규모가 18×11m이고, 남분의 적석부는 그보다 작은 7.6×5.5m로 조사됐다. 두 고분의 크기 차이가 분명한 만큼, 고분의 관계와 성격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윤온식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서총봉처럼 규모와 구조가 확연하게 다른 연접분은 신라시대의 고분 가운데 처음으로 확인된 사례”라며 “일반적으로 크기가 다른 무덤은 각기 따로 조성된다”고 말했다.
|
서봉총 북분에서 출토된 토기의 모습. |
발굴조사에서 가장 관심을 모으는 것은 무덤의 주인이다. 북분 무덤 안에서는 금관과 굵은고리 귀고리, 허리띠 장식 등이 나왔다. 그동안 이를 근거로 신라의 왕비나 공주가 묻힌 것으로 추정돼 왔다. 윤 학예연구사는 “일반적으로 무덤의 크기는 신분과 직결된다”면서 “북분보다 크기가 작은 남분에는 신분이 낮거나, 어린아이가 매장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봉총이 모자(母子)의 무덤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
서봉총 남분에서 출토된 토기의 모습. |
현재까지 진행된 발굴조사에 따르면 남분과 북분은 무덤의 축조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남분은 땅을 판 뒤 이중으로 목곽을 만들어 시신을 두는 공간인 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시신을 묻는 장소)를 마련했다. 반면 북분은 매장주체부가 지상식으로 지면 위에 목조구조물을 설치했다. 더불어 서봉총 남분은 북분의 호석(護石·무덤 둘레에 쌓은 돌)과 봉토 일부를 걷어내고 만든 점으로 미뤄 북분보다 늦게 조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북분에서도 남분과 마찬가지로 호석 바깥에서 제사용 항아리가 최소 7점이 출토됐고, 남분 호석 바깥 1.2∼2.1m 지점에서는 세로 5.2m, 가로 3.3m 크기의 제단 추정 시설이 나왔다.
서봉총이 발굴을 통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때다. 1926년 일제가 기관차 차고를 건설하기 위해 처음 발굴했다. 당시 일본을 방문 중이던 스웨덴의 황태자이자 고고학자인 구스타프 아돌프가 발굴에 참여했다. 발굴에서는 금관을 비롯한 금속품과 칠기, 토기 등이 나왔다. 발굴된 금관에는 세마리의 봉황 모양이 장식돼 있었는데, 스웨덴(瑞典)과 봉황(鳳凰)의 이름을 한글자씩 따 고분의 이름을 서봉총(瑞鳳塚)이라 지었다.
그러나 발굴조사가 이뤄진 것에 비해 서봉총에 대해 알려진 것은 많지 않았다. 일제가 1920년대 두차례에 걸쳐 발굴을 진행했지만, 매장주체부에서 유물을 확보하는 데만 혈안이 돼 상세한 발굴 보고서를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윤 학예연구사는 “일제 때 조사에서는 고분이 타원형이라는 사실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봉분의 모양과 크기가 무덤의 주인과 직결된 정보라는 점에서 아쉬운 대목”이라고 말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해 재개한 발굴조사를 10월에 마무리하고 보고서를 간행할 계획이다.
권구성 기자 k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