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禁女의 벽’ 허문 잠수함

관련이슈 설왕설래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2-07-29 22:45:35 수정 : 2022-07-29 22:45:3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현대사에서 여군이 전쟁터에 본격 등장한 건 2차 세계대전 무렵이다. 소련 여군은 1942년 나치 독일에 치명적 패배를 안겼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전설을 남겼다. 여군 저격수들이 독일군 1만명을 사살했고, 여성으로 편성된 비행연대는 ‘밤의 마녀’로 불릴 만큼 독일군에 공포의 대상이었다. 1945년 약 25만명의 여군이 전선에 투입됐고 전쟁영웅 칭호를 받은 여군도 적지 않았다. 당시 영국도 여군을 창설해 독일군의 공습을 방어하는 레이더 부대와 방공포 부대에 배치했다.

현재 최강의 여군은 단연 미군이 꼽힌다. 미국은 2016년부터 모든 전투병과를 여군에 개방했고 레인저, 그린베레, 네이비실과 같은 특수부대에서도 근무한다. 여군은 21만명으로 군 전체의 15%를 차지하며, 2010년대 육·해·공군 등에서 4성 장군(대장)이 나왔다. 여성도 징병하는 이스라엘 여군은 약 6만명으로 전체 군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2000년에는 남녀 혼성 전투부대도 등장했다. 북한은 24만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고 중국도 20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전쟁의 양상이 버튼 하나로 상대를 제압하는 사이버전으로 바뀌는 터라 여전사는 갈수록 늘 것이다.

한국 군대에서도 여풍이 거세다. 1950년 500명 규모에서 출발한 이래 70여년 만에 여군은 1만7000여명으로 늘어났다. 전원이 장교와 부사관인데 전체 간부의 8%를 웃돈다. 20년 전 첫 여성장군이 등장해 한때 20명에 육박했다. 사관학교 수석 입학·졸업을 여생도가 휩쓸고 전투기 조종사, 함장, 장갑차 조종사, 탱크 조종사, 포병 등 각종 전투병과에서 최초의 여성이 나타난 지 오래다.

이제 첫 잠수함 승조원도 등장할 모양이다. 해군이 어제 병과 중 유일하게 ‘금녀의 벽’으로 남아있던 잠수함 탑승을 여군에게 개방하기로 결정했다. 세계 14번째다. 머지않아 여성들로 군을 채우는 게 더 낫다는 얘기가 나올지 모를 일이다. 하지만 빛이 강렬하면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이다. 군대의 상명하복 문화와 폐쇄성 탓인지 어느 나라나 군대 내 성추문이 심각하다. 우리도 군내 성범죄 사건이 연간 800∼1000건 발생한다.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주춘렬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권은비 '반가운 손인사'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