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5·18 단체 계엄군 묘역 참배, 국민 대화합 계기 되길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3-01-18 23:16:10 수정 : 2023-01-18 23:16:0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용서와 화해의 첫걸음' 5·18 단체 계엄군 묘역 첫 참배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5·18 공법단체 관계자들이 5·18 당시 숨진 특전사와 경찰관 묘역 참배에 나선 17일 오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사병 묘역에서 홍순백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상임부회장(앞줄 왼쪽부터), 정성국 5·18 공로자회 회장, 황일봉 5·18 부상자회 회장, 및 최익봉 특전사동지회 총재가 분향을 마친 뒤 묵념하고 있다. 2023.1.17 superdoo82@yna.co.kr/2023-01-17 15:56:44/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그제 5·18 관련 세 단체(부상자회·유족회·공로자회)가 1980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숨진 계엄군과 경찰이 안장된 국립서울현충원 묘역을 찾아 참배했다. 현충원에는 5·18 때 숨진 계엄군 23명(사병 15명, 간부 8명)과 경찰 4명이 묻혀 있다. 5·18 희생자 측에서 당시 총칼을 휘둘렀던 계엄군과 경찰의 묘를 찾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피해자와 가해자로 서로 얼굴을 붉혔던 이들이 화합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 만시지탄이지만 박수를 보낼 만하다.

이번 계엄군 순직자 참배는 5·18 당시 시민군 상황실장의 용서 메시지, 그리고 시민군을 진압한 특전사 대원들의 5·18 단체 사죄 방문 등이 지난해 말부터 이어지며 결실을 맺었다고 한다. 무엇보다 그동안 5·18을 소재로 분노와 갈등을 부추긴 정치권을 뒤로하고 양측이 부당한 국가 폭력의 희생자라는 데 인식을 함께했기에 가능했다.

사실 지난 43년은 군인들에게도 인고의 세월이었다. 2019년 출범한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조사에서 계엄군 상당수가 죄책감과 우울증, 대인기피, 정신질환 등 트라우마를 겪거나 극단적 선택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참배에 나섰던 5·18 부상자회 황일봉 회장이 “이분들도 피해자다. 오랫동안 깊어진 상처와 슬픔을 실타래 풀듯 풀어 나가겠다”고 언급한 배경이다. 특전사 동지회도 계엄군이었던 대원들과 함께 내달 초 광주 5·18 민주 묘지를 참배한다고 한다. 이 역시 처음 있는 일이다. 5·18 단체들의 참배에 이들도 나설 용기를 얻은 것이다. 내친김에 양측이 미완인 5·18 진실 규명에도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활동 기간이 채 1년도 남지 않았다. 총체적 진실규명을 위해서는 당시 계엄군의 증언과 제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가뜩이나 혐오와 분열이 난무하는 시대다. 사회 갈등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섰다. 정치권은 물론이고 진보와 보수,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세대 및 남녀의 대결은 한 나라 국민이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다. 사회 현상을 서로 정반대로 바라보고 자기 주장만 옳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이런 사회에서 상식과 원칙의 가치가 설 자리는 없다.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할 줄 모르는 사회는 희망이 없다. 이번 5·18 단체의 용서와 화해가 이런 국민 갈등까지 해소하는 통합의 디딤돌이 되길 기대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강한나 '사랑스러운 미소'
  • 김성령 '오늘도 예쁨'
  • 이유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