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납북자 거론해달라”는 가족 호소, 尹대통령 새겨들어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3-02-08 23:54:39 수정 : 2023-02-08 23:54:3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정 박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부차관보 겸 대북정책 특별부대표와 이신화 외교부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가 그제 서울에서 국군포로와 납북·억류 피해자 가족들을 초청해 의견을 청취했다. 지난해 11월에 이어 두 번째다. 앞서 이 대사는 지난해 12월 일본 관방장관을 만나 일본인 납치자 문제와 국군포로, 억류자 등 문제에 대해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미·일 3국 정상이 지난해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공동성명을 통해 “납치자 문제에 대해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합의한 것의 후속조치다. 한·미의 공동 보조가 북한에 어떤 식으로든 압박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유엔 등에 따르면 6·25전쟁 중 납북자는 8만여명, 전후 납북 미귀환자는 516명으로 알려진다. 북한에 억류된 국군포로 가운데 생존자는 100명 남짓으로 추정된다. 2013년 이후 북·중 접경지역에서 선교 활동을 벌이던 김정욱·김국기·최춘길씨, 탈북민 출신 함진우, 고현철, 김원호씨 등 한국인 6명도 10년 가까이 북한에 억류돼 있다. 그러나 생존자가 어느 정도인지조차 알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1975년 납북된 천왕호 선원들 생사가 2008년 탈북한 윤종수씨를 통해 알려진 게 거의 전부일 정도다.

납북자 문제에 손놓고 있어선 안 될 일이다. 북한이 협조할 리가 없는 일이고 보면 결국 피해 당사국이 나서 압박해 나갈 수밖에 없다. 박 부차관보는 그제 “미국은 오랜 기간 북한의 조직적 인권침해를 규탄해왔고, 납북자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강조했다”며 “미국에 인권은 우선순위이고, 앞으로도 이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리 정부는 뭘 했는지 따져 묻지 않을 수 없다. 전임 문재인정부는 남북정상회담을 3번이나 하고서도 북한이 껄끄러워한다며 납북자 송환 문제에 대해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국가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보호하는 것이다. 조국을 지키려 싸우다 포로가 된 사람, 생계를 위해 고기잡이 갔다 붙잡힌 사람, 선교 활동하다 영문도 모른 채 끌려간 사람들이 귀환하지 못한 채 한 많은 삶을 마감하고 있다. 오죽하면 피해 가족들이 “미 국무부에서 이제 한국인 납치 문제도 거론해달라”고 하소연을 했겠나.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초 공언한 대로 북한을 압박하는 등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나를 잊지 말아 달라”는 국군포로와 납북·억류 피해자의 절규를 외면해선 안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안유진 '아찔한 미모'
  • 안유진 '아찔한 미모'
  • 르세라핌 카즈하 '러블리 볼하트'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