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으로 난임 시술을 받아서 임신에 성공할 확률은 30% 안팎인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은 부부가 피임하지 않고 1년 이상 정상적 부부관계를 해도 임신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는데 임신 성공률은 연령별로 크게 차이가 났다.
만 44세 이하의 경우 2019년 31.1%, 2020년 31.1%, 2021년 30.9%, 2022년 29.5% 등으로 전체 임신 성공률과 비슷했다.
하지만 45세 이상은 2019년 3.7%, 2020년 4.3%, 2021년 4.6%, 2022년 4.1% 등 4% 안팎에 불과했다.
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신체적으로 임신이 어려워지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연령별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실적' 자료를 보면 전체 지원 건수는 2019년 7만2404건, 2020년 9만293건, 2021년 10만522건, 지난해 11만1570건 등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결혼이 늦어지면서 임신에 어려움을 겪는 난임 부부도 늘은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지난해 결혼한 여성 중 40대 초반(40∼44세)이 20대 초반(20~24)보다 많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0대인 이들이 출산을 계획한다면 고령임신에 속해 35세 이하 여성의 임신 보다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앞서 난임 시술 결과에서도 힘든 현실이 드라났다.
서울대학교병원에 따르면 고령임신은 35세 이상인 여성이 임신을 하는 경우를 뜻하며 여러 임신 합병증이 증가하기 때문에 고위험 임신에 속한다.
특히 만성고혈압, 임신중독증(전자간증, 자간증), 난산, 조산,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산후출혈, 임신성 당뇨, 제왕절개율, 염색체 이상아 및 기형아 출산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 고령임신, 그 중에서도 고령 첫 임신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연령별 지원 건수를 보면 만 44세 이하가 2021년 10만2103건, 지난해 10만7527건 등으로 상승곡선을 그렸다.
만 45세 이상도 2021년 3118건, 지난해 4043건 등으로 증가했다.
반면 이런 난임 시술비 지원에 따른 전체 임신 성공률은 2021년 30.1%, 2022년 28.6% 등으로 30% 안팎이다.
한편 정부는 2006년부터 애를 갖고 싶어도 갖지 못해 애태우는 난임 부부를 꾸준히 지원해왔다.
난임 시술비 지원사업은 2021년까지 국가 주도로 이뤄졌지만, 지난해부터는 지방자치단체로 넘어갔다.
현재 대부분 지자체에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 180%(올해 2인가족 기준 세전 월 622만원) 이하이다.
이 때문에 적지 않은 맞벌이 부부가 시술비 지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 기사제보 : 카카오톡 blondie2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