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자가만난세상] 누구의 명예를 지키려고 하십니까

관련이슈 기자가 만난 세상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4-02-27 00:11:03 수정 : 2024-02-27 09:13:2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명예로운 죽음.’

군에서는 종종 이런 표현을 쓰곤 한다. 주로 순직한 군 장병을 기릴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지난해 여름 집중호우로 인한 실종자를 수색하다 숨진 채 상병에 대해 그랬다. 군 당국이나 정치권은 “명예로운 대한민국 청년의 죽음을 기억하겠다”, “최고의 예우를 갖추겠다”는 등 명예와 예우란 말을 아끼지 않았다. 순직 군경의 희생은 너무나도 값지고 예우해야 하지만 명예로운 죽음이란 말에 때로는 거부감이 들곤 했다. 망인의 억울함을 풀어주려는 노력이 보이지 않아서다.

구현모 외교안보부 기자

최근 세계일보가 보도한 시리즈 기사인 ‘순직, 국가의 기억’을 준비하면서 만난 유족들은 모두 먼저 간 아이의 명예를 되돌려받길 원한다고 말했다. 아이는 되돌아올 수 없어도 국가가 나서서 사건의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주길, 말로만 명예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희생을 오래 기억해주길 원하고 있었다. “내 소원은 아들을 국립묘지에 보내는 것뿐“이라는 한 유족의 말은 가슴 한편에 남아 쉽사리 잊히지 않는다.

지금도 많은 유족은 외로운 싸움을 이어가고 있다. 사고 당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순직을 인정받지 못한 경우도, 순직으로 인정받고도 보훈심사에서 탈락한 경우도 있다. 사고의 원인을 밝히는 일도, 자식의 죽음이 국가수호 및 국민생명 보호와 관련이 있는 ‘순직’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일들이 모두 유족의 몫이었다. 군 복무 중 백혈병으로 숨진 고(故) 홍정기 일병은 제때 치료도 받지 못하고 사단훈련에도 참여해야 했지만, 당시 군의 조사에서는 이런 과실이 드러나지 않았다. “군은 아이의 명예를 지켜주는 데 조금도 관심이 없었다”고 말한 홍 일병 어머니의 말에 명예로운 죽음이란 단어에 거부감이 든 이유를 조금은 알 것 같았다.

군이 지키고자 하는 명예가 무엇일까. 지난달 박정훈 전 해병대수사단장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의 모습에서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었다. 김 사령관이 법정에서 가장 언성을 높였던 순간은 다름 아닌 자신의 상관이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이야기가 나왔을 때였다.

그는 해병대수사단의 수사를 믿었음에도 이첩보류를 지시한 이유와 이 전 장관이 결재를 번복해서 마음이 바뀐 것인지 묻는 변호인의 질문에 “장관님이 무슨 결재를 번복하셨다는 건가”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자신이 책임져야 할 장병의 죽음의 원인이 아닌 상급자의 책임이 거론되자 “(결재를 번복했단 말이) 활자로 됐을 때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며 발끈하는 해병대 수장의 모습에 얼굴이 화끈거렸다.

사고로부터 7개월이 지난 지금도 해병대원들이 왜 구명조끼도 입지 않고 급류에 들어가야 했는지 그 진상은 밝혀지지 않았다. 군의 과실이나 책임자에 대한 수사는 표류 중이다. 그 사이 군사법원법이 개정됐음에도 경찰에 넘어간 수사기록을 회수해간 군의 모습에서, 장관이 수사결과에 대한 보고를 듣고 서명한 다음 날 이첩을 보류하라고 한 지시가 재검토가 아니라고 화내는 사령관의 모습에서 상식의 퇴행만을 확인하고 있다.

이쯤 되면 묻지 않을 수가 없다. 군이 지키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입으론 고인의 명예를 말하면서도 자신들의 불명예를 걱정했던 것은 아닌지.


구현모 외교안보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안유진 '아찔한 미모'
  • 안유진 '아찔한 미모'
  • 르세라핌 카즈하 '러블리 볼하트'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