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더 오래 일해도 더 적게 버는 노동의 역설

입력 : 2024-12-21 06:00:00 수정 : 2024-12-19 20:11:5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시간 불평등/ 가이 스탠딩/ 안효상 옮김/ 창비/ 2만8000원

 

유명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논문 ‘우리 손자들의 경제적 가능성’에서 100년 후 혹은 2030년이 되면 사람들이 주당 평균 15시간만 일하게 될 것이라 내다봤다. 2025년을 바라보는 지금으로써는 실현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신간 ‘시간 불평등’은 케인스의 기대와 달리 21세기 들어 노동시간이 오히려 늘어났다고 지적한다. 특히 자산이 적고 질 낮은 일자리로 내몰린 이들일수록 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내어주면서 돌봄, 우정, 정치참여 같은 데 쓸 시간은 줄었다.

가이 스탠딩/ 안효상 옮김/ 창비/ 2만8000원

산업화·정보화 시대에 태어난 현대인은 직장에 대부분의 시간을 바치는 걸 당연하게 여긴다. 세계적인 노동경제학자이자 영국 런던 소아스(SOAS) 대학 연구교수인 저자는 시간에 대한 이런 개념을 바꾸기 위해 고대 그리스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시간 사용을 노동, 일(작업), 여가, 놀이, 관조라는 다섯 가지로 나눴다. 노동은 노동자, 외국인, 노예 등이 생계를 위해 하는 것이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노동이 신체와 정신을 기형으로 만들어 개인을 군사적·정치적 의무에 쓸모 없게 한다고 생각했다. 노동은 사람의 정신을 낮은 수준의 생각에 익숙해지게 하며, 생활수단을 생산하는 데만 몰두하게 한다. 노동이라는 영어 단어 ‘레이버’(Labour)는 고역, 고통, 곤경을 뜻하는 라틴어 라보르(Labor)에서 유래했다.

신간 ‘시간 불평등’은 시간의 불평등이야말로 모든 불평등 가운데 최악이라며 일할 권리가 아니라 일하지 않을 권리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게티이미지 뱅크

그리스인은 일을 노동과 구분했다. 일은 돌봄, 공부, 교육, 군사훈련, 시·연극·음악, 배심원 활동, 종교의례 참여 등을 의미했다.

여가(스콜레)와 놀이(레크리에이션)도 따로 봤다. 시민의 제1목적은 스콜레를 위한 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이었다. 스콜레는 교육과 공적 참여를 말한다. 공감 배우기, 공적 토론처럼 광장인 아고라에서 공동체의 삶에 참여하기 위한 시간과 능력을 최대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저자는 우리가 스콜레에 할애하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에 따르면 시간에 대한 생각,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은 경제 구조와 함께 변했다. 이는 크게 농업적·산업적·‘제3의’ 시간 체제라는 세 가지로 나뉜다. 수렵채집 시대에는 위험하고 야수 같았지만 실제 일에 쓰는 시간은 적었다. 농업적 시간 체제가 되며 일이 늘었다. 당시에는 시간은 순환하고 삶은 변하지 않는다 여겼다. 근대로 오면서 시간의 흐름을 진보와 개선으로 보는 선형적 관점이 자리 잡았다. 시간이 갈수록 지식이 쌓인다고 생각하게 됐다.

중세 영국에서는 모두가 쓸 수 있는 공유지가 많았다. 공유화에 쓰는 시간도 꽤 됐다. 공유화의 사례로는 공유지의 나무들을 지반 높이로 잘라줘 잘 자라도록 하는 저목림 작업이나 수확이 끝난 땅에서 여성들이 하는 이삭줍기가 있다.

산업화가 시작되면서 공유지에 울타리가 쳐지고 아무나 들어가기 힘들게 만들었다. 16세기 상층계급은 저소득층이 노래 부르고 춤출 수 있는 축제일을 줄였다. 당시 통과된 ‘방랑법’은 게으름을 ‘만악의 어머니’로 지목했다. 방랑죄를 지은 사람은 채찍질을 하고 노동에 처하도록 규정했다. 방랑법으로 몇년 사이 10만명 이상이 교수형을 당했다. 인구의 대부분은 노동을 ‘원하도록’ 강요당했다. 가정과 공동체를 돌보는 재생산 일에 쓰는 시간은 더 적어졌다.

19세기 산업적 시간 체제로 전환되면서 나타난 뚜렷한 특징은 삶을 시간 블록으로 나눈 점이다. 산업적 시간 체제의 시작은 섬유산업가 리처드 아크라이트(1732∼1792)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크라이트는 일주일에 6일, 13시간 주·야간조로 이뤄진 교대제를 실시했다. 매일 아침 6시 일 시작과 동시에 공장문을 닫았고, 제시간에 들어오지 못한 노동자는 내쫓았다.

노동자는 일찍 일어나고 10시간 이상 일하고 집에 와서 침대에 쓰러졌다. 노동시간은 급격하게 늘어났다. 노동할 수 없는 노인의 시간은 가치가 없어지고 짐이 됐다. 오늘날 절망사처럼, 18세기 기록된 자살 가운데 50세 이상이 40%를 차지했다.

1970년대 이래 정보기술 혁명으로 제3의 시간 체제가 나타났다. 많은 이들이 더 많이 일하고 더 적게 벌게 됐다. 저자는 오늘날 계급구조를 부호, 엘리트, 살라리아트(정규직), 프롤레타리아트(육체노동), 프레카리아트로 나눈다. 가장 아래 있는 프레카리아트는 불안정한 일을 하며 근근이 살아가는 이들이다. 이들은 일로 맺는 관계가 적어 외롭고, 언제 어디서 일할지 알 수 없어 자기 시간을 통제하지 못한다.

오늘날 제3의 시간 체제에서는 표준 노동시간이 없고 자기계발이라는 이름의 ‘노동을 위한 일’을 무보수로 해야 한다. 일과 일 사이의 대기 시간이 늘어났으며 ‘무결근 문화’가 확산했다. 직장에서 없어도 되는 직무를 배정받거나 일하는 사이사이 한눈을 파는 무의미한 노동도 늘었다.

저자는 현대로 올수록 노동시간이 늘어난 역사를 짚으며 ‘시간의 불평등이야말로 모든 불평등 가운데 최악’이라고 강변한다. 그러면서 일할 권리가 아니라 ‘일하지 않을 권리’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책 마지막은 기본소득, 시민농장, 공동체 바다밭, 재활용, 숙의 민주주의가 확산한 2030년대를 상상하며 끝맺는다.

이 책은 많은 이들이 공감할 주제를 다루지만 가독성이 좋지 않은 것이 한계다. 문장 자체가 학계를 대상으로 한 이론적 논의와 대중적 글쓰기의 중간 지점에 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송혜교 '부드러운 카리스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