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중국에 대해 60%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실제로는 20% 정도로 제한적으로 적용할 것이라는 경제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10일(현지시간)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날 미국 워싱턴에 기반을 둔 싱크탱크인 애틀란틱 카운슬에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20%의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60%의 관세는 태양광 패널과 철강, 알루미늄 등 극히 제한된 부문에만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공약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자신의 분석 근거로 중국이 트럼프의 복귀로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가 격화되는 상황에 대비한 다양한 범위의 대응책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을 했다. 그는 “수출 통제, 채권 포트폴리오 활용, 미국 기업가들의 중국 활동을 더 어렵게 만들기 등의 수단을 예로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대응책의 존재로 트럼프 당선인도 극단적인 관세 부과는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중국은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등 핵심 광물의 미국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조치는 미국이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반도체의 대중국 수출 제재를 가한 것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이뤄졌다. 또 중국은 일본에 이어 미국 국채를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한 국가(7600억달러)다. 다만, 국채의 경우 미 달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이를 꾸준히 매각하고 있다고 SCMP는 짚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