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딥시크 쇼크’ 샘 올트먼 “다른 오픈소스 전략 필요”

입력 : 2025-02-02 19:15:00 수정 : 2025-02-02 21:45:2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원조 챗GPT’ CEO 새 전략 언급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다”
빅테크 ‘혁신’ 인정하며 경계심
日, 공기관 ‘딥시크’ 사용 금지령

‘중국판 챗GPT’ 딥시크 충격파를 맞은 ‘원조 챗GPT’의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오픈소스 관련 전략 변경을 시사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 로이터연합뉴스

오픈AI를 이끄는 올트먼 CEO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모델 관련 기술 일부를 공개하고 연구 결과 발표를 늘릴 가능성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그는 “우리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관련해)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서 있었으며 다른 오픈소스 전략을 만들어낼 필요가 있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딥시크가 오픈AI의 우위를 약화시켰다고 인정하면서 “우리는 더 나은 모델을 만들 것이지만 지난 몇 년간보다 더 적은 우세를 유지할 것”이라고도 했다고 미국 기술 매체 테크크런치가 전했다.

기존 미국 주도 AI 업계에서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들은 부분적으로 오픈소스 방식을 택한 메타플랫폼(페이스북 모회사) 정도를 제외하면 자사 모델에 대한 정보 공개를 꺼려왔다. 오픈AI 역시 2015년 창사 당시에는 공익에 부합할 경우 연구 결과와 데이터를 공개하겠다고 했지만 이후 경쟁 격화와 안전상 위험을 이유로 입장을 바꾼 상태다.

오픈AI를 공동 설립했지만 2018년 관계를 정리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오픈AI가 설립 초기의 비영리 사명 및 오픈소스 계약을 위반했다며 소송도 제기했다.

이런 가운데 오픈소스 방식을 채택해 누구나 자유롭게 기본 코드 등을 바꿀 수 있도록 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 ‘R1’ 출시는 시장에 파장을 일으켰다.

경쟁 상대인 기존 빅테크들은 잇따라 딥시크가 “혁신”이라고 인정하면서도 경계심을 드러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사티아 나델라 CEO는 딥시크에 대해 “진정한 혁신을 보여주고 있다”면서도 “(딥시크 등장은) AI 발전이 기존 컴퓨팅 기술 발전과 유사한 과정을 거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성능은 향상되고 비용은 낮아지는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애써 딥시크의 ‘저비용 고성과’의 의미를 축소한 셈이다.

세계 각국도 중국 AI 기술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일본 NHK는 다이라 마사아키(平?明) 디지털상이 딥시크와 관련해 “개인 정보가 제대로 보호되는지 문제”라며 우려가 불식되기 전까지는 공무원이 사용하는 것을 삼가라고 주문했다고 전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김혜수 '눈부신 미모'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