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트럼프, 加·中·멕시코에 관세 ‘포문’… 3國 “즉각 보복”

입력 : 2025-02-02 18:25:52 수정 : 2025-02-03 00:26:35

인쇄 메일 url 공유 - +

4일부터… 中 “WTO 제소… 반격조치할 것”
캐나다·멕시코 “미국산 25% 관세” 맞불
EU·브릭스·韓 등 다음 타깃 가능성 우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강행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통상은 물론 비무역이슈에서도 ‘관세 무기화’ 정책을 공언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 이후 첫 관세 부과 결정을 내리며 세계는 30년 가까이 이어온 자유무역시대를 마감하고 본격적인 보호무역시대로의 재편에 돌입하게 됐다. 트럼프 ‘관세 전쟁’ 사정권에 한국도 포함될 것이라는 우려가 가시화하면서 국내 산업계에도 비상이 걸렸다.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른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를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번 행정명령에 따라 캐나다의 에너지 제품을 제외한 모든 물품에 4일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다만 미국 내 유가 문제와 맞물려 있는 원유 등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 대해선 10%만 관세가 부과된다. 멕시코에 대해서는 에너지류를 포함해 모든 제품에 25% 관세가 부과되며,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추가 보편 관세가 각각 4일부터 부과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이번 조치의 이유로 불법 이민자와 마약의 미국 유입을 재차 거론한 뒤 “우리는 미국 국민을 보호해야 하며 모두의 안전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대통령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첫 번째 관세 부과 대상국이 된 멕시코와 중국, 캐나다가 미국의 수입액 순위 2~4위 국가라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이들 국가와의 무역 구조 재편 자체를 노린 움직임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상대국들은 관세 부과가 공식화하자 보복관세 등의 조치를 내세우며 즉각 반발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일 밤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1550억캐나다달러(약 155조6000억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맞대응”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1일(현지시간) 오타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에 대해 ‘맞대응’ 방침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오타와=AP연합뉴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 담화문에서 “미국의 잘못된 처사에 대해 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것이고, 상응한 반격 조치를 취해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트뤼도 총리가 “우리는 긴장 고조를 추구하지 않는다”고 밝히는 등 세 나라는 미국을 향해 협상 여지를 남겨두기도 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은 여기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최대 수입국인 유럽연합(EU)과 브릭스(BRICS)가 다음 타깃이 될 가능성이 크다.

 

2023년 기준 국가별 수입액에서 6위를 기록한 한국 역시 관세 위협에서 자유롭지 않다.

 

국내 재계의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당시 ‘프렌드쇼어링’(우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차원에서 기껏 멕시코와 캐나다로 공급망을 이전했는데, 이제 ‘프렌드’의 경계도 더는 알 수 없다”며 “당장 미국으로 생산지를 옮기는 것도 쉽지 않아 전반적인 대미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서필웅·이동수 기자, 베이징=이우중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김혜수 '눈부신 미모'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