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예방과 진행 억제에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비타민D가 암종에 따라 오히려 생존율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유창훈 교수팀은 2차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진행성 담도암 환자 173명의 혈중 비타민D 수치와 생존율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6일 밝혔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06/20250206504953.jpg)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06/20250206504520.jpg)
연구결과 여성 환자군에서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사망위험도가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혈중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사망위험도 그래프가 뚜렷하게 우상향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남성 환자군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체질량지수(BMI)가 18.5 미만으로 낮은 환자군에서는 비타민D 수치가 높을수록 사망위험도가 5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비타민D가 암 환자 치료 성적이 좋다는 기존 관념과 달리 담도암에서 달리 나온 이유를 암종에 따른 생물학적 특성과 성호르몬과의 상호작용 때문으로 추정했다. 기존의 비타민D 연구는 주로 대장암, 유방암에서 이뤄져 생물학적 특성과 진행 양상이 다른 희귀 암인 담도암 세포에서는 비타민D 대사 관련 유전자가 다른 방식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 에스트로겐 등 여성호르몬과 비타민D의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쳐 여성 담도암 환자 예후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과도하게 높은 비타민D 수치가 오히려 염증 반응이나 세포 독성을 유발했을 수도 있다. 비타민D는 적정 수준에서 암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발휘하지만, 높은 비타민D 수치는 암세포의 성장 억제를 방해하거나 주변 조직의 미세환경을 변화시켜 암 진행을 촉진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06/20250206504521.jpg)
유창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상당수의 암 환자들이 맹신하는 비타민D에 대해 주의해야 할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캔서 메디신(Cancer Medicine)’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