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약이 한약보다 간손상 위험 높아”
한의원 찾아 정확한 진단·처방 중요
“한약 오래 먹으면 간에 안 좋대~”
“잘못 먹으면 간이나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다던데...”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515379.jpg)
과거 한약을 복용한 후 간 수치가 일시적으로 상승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일각에선 “한약이 간에 부담을 준다”는 인식이 퍼지게 됐다. 정말 한약은 간에 안 좋을까?
최근 수십만명이 넘는 대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한약이 간독성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에 따르면, 원성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와 이상헌 단국대 생명융합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지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된 67만2411명의 데이터를 토대로 한의의료기관에서 처방한 한약이 ‘약물 유발 간손상’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한의의료기관에 내원했거나 한약 처방을 받은 환자의 경우 90일 이내에 약물 유발 간손상 발생 위험은 증가하지 않았다. 외래 환자군에서는 위험도가 1.01(95% 신뢰구간:1.00~1.01)로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515384.png)
반면, 양방 병의원에 내원했거나 양약 처방을 받은 환자군에서는 의료기관 방문 후 3~15일 이내 약물 유발 간손상 발생 상대 위험도가 1.55, 약을 처방 받은 경우는 위험도가 2.44로 급증했다.
이번 논문은 국제 학술지 ‘최첨단 약리학’(Frontiers in Pharmacology) 1월호에 게재됐다.
실제로 양약이 한약보다 간손상을 유발하는 사례가 더 많다는 연구 결과는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난 2010년 미국 간학회지(Hepatology)에 발표된 논문에서 미국 내 약물 유발 간손상 환자 1198명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항생제, 항결핵제, 항진균제 등의 양약으로 인해 간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2022년 약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악타 파마슈티카 시니카 비’(Acta Pharmaceutica Sinica B)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중국 ADR(이상 약물 반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해 총 667만3000건을 전수 조사했더니 간손상을 일으킨 비율은 양약이 95.5%에 달했고 한약은 4.5%에 그쳤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515380.jpg)
한의사들은 불법으로 유통된 한약재가 아닌 정식 한의의료기관에서 처방받은 한약은 간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주장한다.
다만, 어떤 약이든 과다하게 복용할 경우 간 수치가 올라가는 성분도 존재하는 만큼 한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김석희 바른몸에스한의원장은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모든 약에는 몇몇 성분에 따라 간 수치가 올라가는 성분들이 존재한다”면서 “한의사들이 한약을 처방할 때 그런 부분을 고려해 일정 용량 이하로, 충분히 문제없는 수준으로 처방해 드리기 때문에 한의원에 가서 진단을 받고 약을 처방받으면 문제없이 복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의협은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학술 논문을 통해 한약이 간에 안전하고 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사실이 입증된 만큼, 한약을 폄훼하고 비방해 오던 세력들은 즉각 잘못된 행동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