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트럼프발’ 러·우 종전 협상… 외교·안보전략 새판 짜길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2-13 23:12:13 수정 : 2025-02-13 23:12: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잇달아 통화해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을 즉각 시작하는 데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푸틴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만날 것”이라고도 했다. 14~16일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에서 미국 주도의 전쟁 종식 시나리오가 발표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지난 3년 동안의 전쟁은 승자도 패자도 없이 양국 모두에 심각한 상처만 남겼다. 참혹한 전쟁의 출구를 찾는다는 면에서 반기지 않을 수 없다.

아직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방식으로 종전을 이끌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다. 우크라이나 영토를 원상 복구하거나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보장하는 방식은 아닐 공산이 크다. 러시아에 일방적으로 유리한 협상이 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이대로 가면 우크라이나는 국토의 20%를 러시아에 빼앗긴 채 종전을 맞이할 수도 있다. 늘 그렇듯 힘이 없으면 국가의 운명도 스스로 정하기 어려운 게 냉혹한 현실이다. 동맹이라는 버팀목은 그다음이다. 북한의 핵을 이고 사는 우리로서도 자강의 각오를 다지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폴란드와 미국을 경유해 우크라이나에 군수물자를 지원하며 미국의 전략에 동조했다. 문제는 종전이 성사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이전과 달리 미·러 간 우호 분위기가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1기 때도 양국 정상의 브로맨스는 지속됐다. 외교·안보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하다. 더구나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 협상 선결조건으로 ‘북한군 철수’를 내걸었다는 보도까지 나온 마당이다. 추후 협상 과정에서 한국을 배제하고 북한 측 요구가 대거 반영될 수도 있다. 우리 안보에는 악영향을 미칠 게 뻔하다.

새로운 전쟁방식에도 대비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드론에 이어 로봇 부대까지 등장, 인간과 전투를 벌였다. 종전이 가시화하면서 우크라이나 재건사업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심각한 재정 상태와 노동력 감소 등으로 재건사업 착수가 더디고 실익이 크지 않다는 관측이 있긴 하지만 전쟁으로 위축됐던 유럽 시장 등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당장의 교역량 증가가 기대치에 미치지 않더라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탄핵 사태에 따른 국정 공백이 부담이나 모두 국익을 챙기는 일인 만큼 민·관이 따로일 수 없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