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사용 가능성 1위 러시아 꼽아
2024년 글로벌 방위비 총액 3570조원
전 세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10년 내 한국의 핵무장을 예상하는 답변이 1년 사이에 크게 증가했다.
12일(현지시간) 미 싱크탱크 애슬랜틱카운슬이 지난해 11월 말∼12월 초 미국과 세계 60개국 글로벌 전문가 357명을 상대로 실시한 ‘글로벌 예측 2025’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향후 10년 안에 핵무기를 가질 가능성이 큰 나라’ 문항(객관식·복수응답 허용)에서 한국을 꼽은 응답 비율은 40.2%로 나타났다. 이란(72.8%), 사우디아라비아(41.6%)에 이어 3위로 집계됐다. 일본(28.6%), 우크라이나(14.9%), 대만(7.9%)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한국은 1년 전 조사에 비해 증가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 조사에서 한국의 10년 내 핵무장을 예상한 전문가는 25.4%였는데, 1년 만에 14.8%포인트 상승했다.
이란은 1년 전 조사 결과(73.5%)와 비교하면 소폭 줄었다. 사우디는 2%포인트 상승했고, 일본도 9.3%포인트 올라갔다.
이는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역량이 더욱 고도화된 데다 러시아와 북한이 사실상 군사동맹을 체결하면서 한반도의 군사·안보적 위협이 커진 상황과 더불어 한국 내 독자 핵무장 지지여론이 커진 것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설문조사에서 향후 어느 국가가 10년 안에 핵무기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는 질문에 러시아(25.9%)가 가장 많았고, 북한(24.2%)이 뒤를 이었다.
한편, 영국 싱크탱크 국제문제전략연구소(IISS)는 연례 세계 군사력 균형 평가 보고서에서 지난해 글로벌 방위비 총액은 2조4600억달러(약 3570조원)로 사상 최대를 경신했으며, 실질 성장률 기준 전년보다 7.4%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 국방비는 7.4% 증가하면서 아시아 지역 전체(3.9%)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 국방비는 439억달러(약 63조원)로 전 세계에서 10번째로, 아시아에서 중국, 인도, 일본 다음으로 많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