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과장·교육장 불러 조사 채동욱 전 검찰총장 낙마 사건에 청와대가 개입된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채 전 총장 ‘혼외 아들 사건’이 불거지기 3개월 전 청와대에 파견된 경찰이 일선 지구대에서 혼외 아들 관련 개인정보를 캤다는 의혹에 더해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교육지원청도 같은 조사를 벌였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또 채모군 학생생활기록부를 무단 조회한 혐의를 받는 유영환 강남교육지원청 교육장도 최근 소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 정보관의 부탁을 받고 채군 아버지 이름 등을 조사했다는 의혹을 받는 유 교육장은 제3의 인물로부터도 채군 학적부 등의 조회를 요청받은 정황이 포착됐다.
서초구청을 통해 채군 가족관계등록부를 확인했다는 의혹을 받는 조오영 청와대 총무비서관 외에 최근에는 청와대에 파견됐던 A경정이 채군 주민번호 조회 배후로 등장하는 등 청와대 소속 혹은 파견 직원의 연루설이 계속 불거지고 있다.
여러 정부기관들이 채군의 개인정보를 들여다본 정황이 잇따라 터져 나옴에 따라 청와대로 의혹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기소한 시점인 지난해 6월에 집중적으로 채군 관련 정보를 모은 정황이 드러난 것도 이런 의혹에 불을 지피고 있다.
청와대는 연루설을 부인했다. 청와대는 “특별감찰반이 지난해 6월 하순경 당시 채 총장의 처를 자칭하는 여성과 관련된 비리 첩보를 입수해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경찰과 관련 비서관실을 통해 관련자 인적사항 등을 확인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남상훈·이희경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