펼쳤다 접었다 하면 ‘당신을 몹시 그리워합니다''
홍콩과 마카오에 가서는 함부로 부채를 만지작거려선 안 될 것 같다.
부채 동작만으로 뜻을 전달하는 부채언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까딱하면 낭패를 당할 수 있다.
부채를 펴서 얼굴 아랫부분을 가리면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뜻이고, 손잡이로 입술을 두드리면 ‘키스해 주세요’, 펼쳤다 접었다 하면 ‘당신을 몹시 그리워하고 있습니다’라는 뜻이라고. 중국 연인들은 부채 대신 부채 그림이나 부채추를 사랑의 징표로 주고받는다.
부채 선(扇)자가 헤어짐을 나타내는 산(散)자와 음이 같아 부채를 선물하면 이별하게 된다는 속설의 영향이다.
소설 ‘홍루몽’에서 보옥이 ‘소매 속에서 부채를 꺼내 끝에 달린 옥구슬 장식을 풀어’ 기관에 주는 것은 이 때문이다.
부채 동작만으로 뜻을 전달하는 부채언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까딱하면 낭패를 당할 수 있다.
부채를 펴서 얼굴 아랫부분을 가리면 ‘당신을 사랑합니다’라는 뜻이고, 손잡이로 입술을 두드리면 ‘키스해 주세요’, 펼쳤다 접었다 하면 ‘당신을 몹시 그리워하고 있습니다’라는 뜻이라고. 중국 연인들은 부채 대신 부채 그림이나 부채추를 사랑의 징표로 주고받는다.
부채 선(扇)자가 헤어짐을 나타내는 산(散)자와 음이 같아 부채를 선물하면 이별하게 된다는 속설의 영향이다.
소설 ‘홍루몽’에서 보옥이 ‘소매 속에서 부채를 꺼내 끝에 달린 옥구슬 장식을 풀어’ 기관에 주는 것은 이 때문이다.
중국 부채는 순임금이 요임금에게 왕위를 물려받은 뒤 의장용 부채인 오명선(五明扇)을 만든 게 효시라고 전해지며, 3000년간 옥석을 걸러내는 과정을 거쳐 공예품으로 발전한다.
부채의 기능은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물리치고 햇빛을 가리고 불을 지피는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것이었지만, 중국에서는 문학 작품을 비롯해 희곡·민속·군사·무협·TV·의약·가무·시사가부(詩詞歌賦) 등과 결합하면서 풍부한 의미와 깨달음을 전달해 주는 일종의 문화적 언어를 만들어냈다. 선풍기와 에어컨이 일반화한 요즘도 신분을 나타내는 표식이나 풍류를 나타내는 기호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후속으로 나올 ‘차의 향기’ ‘요리의 향연’과 함께 ‘교양으로 읽는 중국 생활 문화’ 시리즈 제1권으로 나온 ‘부채의 운치’(저우위치 지음, 박승미 옮김, 산지니)는 중국 문화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 부채의 모든 것을 담았다. 부채의 연원과 예술품으로서의 위상, 문학작품의 수용 양상, 혼례·장례 등 생활 속 용례를 설명하고 부채의 모양을 본뜬 아름다운 건축물들을 소개하는 등 문화사 측면에서 다양하게 접근하고 있다.
중국 경극의 거장 메이란팡(梅蘭方)은 공연 때마다 아름다운 부채 기술을 선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귀비취주(貴妃醉酒)’에선 부채를 빌려 양귀비의 취한 모습과 복잡한 내면세계를 정교하게 형상화했다. 곱고 화려한 부채가 소품으로서 똘똘한 역할을 한 덕분에 주인공의 연기가 빛을 발한 것이다. 소설 ‘삼국연의(三國演義)’에서 제갈량은 항상 깃털 부채(羽扇)를 들고 푸른 윤건(輪巾)을 둘러 소탈함과 자유를 표방하며 군사를 지휘하는 멋스러운 풍모를 자아낸다. 우선·윤건·학창의·4륜수레 세트는 공명의 상징이 되어 그가 죽은 다음에도 힘을 발휘한다. ‘서유기(西遊記)’에서는 손오공이 불경을 구하러 인도로 가다가 800m의 화염산(火焰山)에 가로막히자 철선공주한테서 세 번이나 파초선을 빌려 49번 부채질을 하는 대목이 나온다. 그렇게 해서 불씨를 완전히 끄고, 세찬 비를 내리게 해 무사히 화염산을 지난다는 내용이다.
‘금병매’에 특히 많이 등장하는 부채는 천하의 바람둥이 서문경의 극에 달한 사치와 방탕한 생활을 상징한다. 서문경은 당시 사천 지방에서 생산되던 명품 ‘진금 사천부채’와 ‘금박 사천부채’를 들고 여인들을 희롱하고, 기녀 이계저는 서문경과 함께 놀면서 소매에서 춘화가 그려진 춘선(春扇)을 꺼내든다. 반금련은 비단 부채인 환선(紈扇)과 합환선(合歡扇)을 들고 월낭과 노름을 하거나 후원에서 나비를 잡으며 더위를 피하곤 했다.
◇부채의 운치 교양으로 읽는 중국 생활 문화저우위치 지음/박승미 옮김산지니/2만5000원 |
부채는 예술품으로서도 한몫 하고 있다. 1980년대 쑤저우 부채공방은 겨우 성냥갑만한 부채에 당시(唐詩) 300수를 새겨넣어 그 정교한 기술을 뽐냈다.
1986년 위신창은 손톱 절반 크기의 소형 부채에 글자 385자를 적어 혀를 차게 했다. 우리나라에 부채춤이 있듯이 중국 문화에서도 다양한 부채 무용이 등장한다. 특히 중국 강남 채차무(採茶舞)의 무용수는 왼손에는 차 바구니를, 오른손에는 채색 부채를 들고 자신의 슬픔과 기쁨을 노래와 춤에 환상적으로 담아내 호평을 받았다.
혼례·장례 문화에서도 부채는 빠질 수 없다. ‘각선지석(却扇之夕)’은 ‘부채를 치우는 밤’이라는 뜻으로 신혼 초야를 의미한다. 초상집은 문 앞에 흰 부채를 걸어두어 상가임을 알렸다. 공예미술품인 부채는 조경 건축의 세계로 들어가 부채가 갖고 있는 형태 미학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부채 모양의 창문을 내고 날아갈 듯한 곡선의 환형 지붕을 올리는가 하면, 아름다운 정자와 누각에는 부채 모양의 편액에 이름 있는 ??대가들의 글씨를 실어 멋을 한층 드높였다. 옆에 놓인 부채가 새삼스럽다.
부채의 운치
교양으로 읽는 중국 생활 문화저우위치 지음/박승미 옮김산지니/2만5000원
조정진 기자 jjj@segye.com
교양으로 읽는 중국 생활 문화저우위치 지음/박승미 옮김산지니/2만5000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