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맛있는 영어이야기 25: 수사학 – 1편에서는 수사학 (rhetoric)에 대한 정의, 수사학적 측면에서 본 글의 기본구조 (basic rhetorical structure), 그리고 수사학적 전략들 (rhetorical strategies)에는 무엇이 있는 지를 개괄적으로 알아 보았다. 이제부터는 맛있는 영어이야기 25: 수사학 – 1편의 마지막 부분에서 소개한 수사학적 전략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 보기로 한다.
서술
서술 (narration)은 How did it happen? 즉, “그 것이 어떻게 일어 났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듯이 말 (spoken language)을 하거나 글 (written language)을 쓰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어떤 일련의 벌어지는 상황이나 사건들 (situations or events)을 흔히 그 상황이나 사건들이 전개되는 순서에 따라 이야기 하듯이 말하거나 글로 쓰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시간적 순서
시간적 순서 (chronological order)는 어떤 상황이나 사건들이 전개되는 과정을 그러한 상황이나 사건들이 발생한 시간에 따라 먼저 발생한 것을 먼저 말하거나 글로 쓰고 나중에 발생한 것을 나중에 말하거나 글로 쓰는 것을 말한다.
예) I got up at 7. I had breakfast at 7:30. After I finished my breakfast, I packed my school bag. And I left home to go to school at 8:15.
예) 7시에 자리에서 일어났다. 7시30분에 아침식사를 하였다. 아침 식사를 마친 후, 책가방을 꾸렸다. 그리고 8시 15분에 학교를 향해 집을 나섰다.
위의 예에서 보듯이, 시간적 순서에 의한 말이나 글은 자연적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리적으로 전개 됨을 알 수가 있다. 참고로, 이러한 시간적 순서는 서술에서 가장 흔히 쓰는 수사학적 전략 (rhetorical strategy)인데 종종, 극 적인 감정을 더하기 위해 역 시간적 순서 (reverse chronological order)로도 말을 하거나 글로 쓰는 경우도 있다. 다음은 이러한 역 시간적 순서에 근거하여 전개되는 이야기의 예이다.
예) Jack is going to marry Jill next week. They used to go to high school together. About a year ago, they ran into each other at the airport. Since then, they fell in love with each other. And last summer finally, Jack proposed marriage to Jill while they spent time together for the summer in Key Largo.
예) 잭은 다음 주에 질과 결혼 할 예정이다. 그들은 같이 고등학교를 다녔다. 일년여전에, 그들은 우연히 공항에서 마주쳤다. 그런 이후로, 그들은 서로 사랑에 빠졌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여름에, 그들이 키 라르고에서 함께 여름을 보내고 있을 때, 잭이 질에게 청혼을 하였다.
위의 예는 우선적으로 잭과 질이 곧 결혼을 할 것임을 미리 알리고 난 이후에 시간적으로 현재 시점에서 과거의 어느 특정한 시점으로 돌아가서 이 두 사람이 어떻게 해서 현재의 결혼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를 알린다. 이렇게 역 시간적 순서는 시간의 자연적 흐름을 뒤집음으로써 말하는 이/글 쓰는 이 (speaker/writer)는 자신의 말이나 글에 극적 감흥을 더하는 것이다. 참고로, 이러한 역 시간적 순서는 또한 흔히 알듯이 영화에서 회상 따위를 위해 장면이 되돌아 경우를 뜻하는 말로도 쓰는 플래쉬백 (flashback)으로도 불린다.
[다음 편에서 계속]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