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이러한 방침이 올바른 방향 전환이라고 본다. 학생시절 10여년간 영어를 배우고도 생활영어조차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기존 영어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보탬이 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영어와 수능시험과의 연결 고리를 끊을 경우 정부 의도대로 독해·문법 중심의 수업이 회화 등 실용영어 위주로 바뀔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정책은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인 사교육비 절반 감축의 실천 방안이기도 하다. 30조원으로 추정되는 사교육비 가운데 영어가 40%나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입시에서 영어 부담이 줄어든다면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물론 정부 구상대로 정책이 시행되고 소기의 성과를 거두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학교에서 생활영어를 가르칠 교원을 확보하는 것도 문제이고, 실력차가 드러나지 않는 자격시험제 때문에 일각에서는 공정성 시비가 일 수도 있다. 사교육비가 실제로 경감될지도 아직은 불투명한 게 사실이다.
교육 당국이 철저한 사전 조사와 검토 작업을 거쳐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안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다.
국가 간 장벽이 사라진 글로벌시대에 국제 공용어인 영어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그렇다고 모든 대학 또는 모든 학과 진학을 위해 영어를 필수화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도 큰 낭비가 아닐 수 없다. 영어 능력에 얽매이지 않고도 취업이나 승진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다원적 열린사회의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