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수능시험 ‘영어 제외’ 바람직하다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08-04-28 19:45:59 수정 : 2008-04-28 19:45:5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김도연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현재의 중2 학생들이 치를 2013학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부터는 영어과목을 폐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올 초 대통령직 인수위가 제시했던 방안을 주무 장관이 재확인한 것이다. 김 장관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수능 영어를 폐지하고 통과 여부만 가리는 영어능력평가시험으로 대체하겠다고 말했다. 다른 인터뷰에서 현재 개발 중인 ‘한국판 토플·토익’이 대입 전형에 적합한지 여부가 변수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수능영어 폐지를 추진 중임은 분명히 했다.
우리는 이러한 방침이 올바른 방향 전환이라고 본다. 학생시절 10여년간 영어를 배우고도 생활영어조차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기존 영어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보탬이 될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영어와 수능시험과의 연결 고리를 끊을 경우 정부 의도대로 독해·문법 중심의 수업이 회화 등 실용영어 위주로 바뀔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정책은 이명박 대통령의 공약인 사교육비 절반 감축의 실천 방안이기도 하다. 30조원으로 추정되는 사교육비 가운데 영어가 40%나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입시에서 영어 부담이 줄어든다면 학부모의 사교육비 부담도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물론 정부 구상대로 정책이 시행되고 소기의 성과를 거두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학교에서 생활영어를 가르칠 교원을 확보하는 것도 문제이고, 실력차가 드러나지 않는 자격시험제 때문에 일각에서는 공정성 시비가 일 수도 있다. 사교육비가 실제로 경감될지도 아직은 불투명한 게 사실이다.
교육 당국이 철저한 사전 조사와 검토 작업을 거쳐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안 마련에 힘써야 할 것이다.
국가 간 장벽이 사라진 글로벌시대에 국제 공용어인 영어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그렇다고 모든 대학 또는 모든 학과 진학을 위해 영어를 필수화하는 것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도 큰 낭비가 아닐 수 없다. 영어 능력에 얽매이지 않고도 취업이나 승진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다원적 열린사회의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