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성”은 32.5% 그쳐… 2배차 압도
서울선 67.7% vs 29.5%로 벌어져

여론은 일단 한나라당 쪽으로 상당히 기운다.
세계일보 여론조사 결과, 선별적 복지를 선호하는 쪽(65.7%)이 보편적 복지를 펴야 한다는 의견(26.7%)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에 상관 없이 모든 사람에게 복지혜택을 주자”는 보편적 복지보다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에 우선적으로 복지혜택을 주자”는 선별적 복지에 훨씬 더 많은 이들이 찬성한 것이다.
보수적 이념 성향자(78.2%)이거나 한나라당 지지자(77.4%)일수록 선별적 복지정책에 공감하는 이들이 많았다. 반면 보편적 복지에 동의한 응답자는 진보적 이념 성향자(42.5%)이거나 고학력자(전문대 재학 이상 29.9%), 야당 지지자(민주당 지지 36.9%, 민주노동당 지지 49.2%)일수록 많았다.
선별적 복지에 대한 지지의견이 훨씬 높게 나타난 것은 최근 실시된 한겨레신문 여론조사 결과와 비슷하다. 지난달 22∼23일 한겨레신문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공동 여론조사에서 선별적 복지, 보편적 복지를 지지한 응답자는 각각 68.7%, 30.3%였다.
‘무상급식’을 두고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무상급식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주민투표 추진으로 정치권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는데, 세계일보 조사에서 ‘선별적 무상급식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63.9%로 ‘전면적 무상급식에 찬성한다’는 쪽(32.5%)을 압도했다.
특히 주민투표 논쟁의 해당 지역인 서울에서는 선별적 무상급식 67.7%, 전면 무상급식 29.5%로 그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선별적 무상급식을 지지하는 쪽은 대체로 50대(74.8%)와 60대 이상(72.3%), 보수적 이념 성향자(77.2%)일수록 높았다. 주목할 점은 무상급식의 실제 수혜 대상인 30대(47.5%)와 40대(38.0%)에선 전면 무상급식에 찬성하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이다. 진보적 이념 성향자(56.6%), 화이트 칼라층(43.5%)에서도 전면 무상급식을 지지하는 이들이 많았다.
하지만 지난 1월 한겨레신문 여론조사에서는 ‘초·중학생 모두에게 무상급식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55.9%로 ‘전면 무상급식에 반대한다’는 의견(43.6%)보다 많았다. 지난 12일 실시한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조사에서도 무상급식 찬성(51.7%)이 반대(38.3%)보다 높았다.
이처럼 상이한 결과가 나온 것은 여론조사기관이 수행하는 ‘질문 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조사기관에서 질문을 던질 때의 뉘앙스 차이나 선택지 배치 순서 등에 따라 답변 결과가 다소간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김형구 기자 julyend@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