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민주화보다 경제성장이 먼저” 국민들은 정권교체보다 경제살리기를 대선 후보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다. 대선 후보가 이번 대선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문제도 경제민주화보다 경제성장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저성장 기조 속에 장기 침체에 빠져들고 있는 국내 경제에 대한 걱정이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경제대통령’을 표방한 이명박 대통령 임기 동안 심화된 양극화로 인해 여야 대선 후보가 경제민주화를 핵심 이슈로 내세우고 있지만 정작 유권자는 가계 소득 향상·일자리 창출·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경제성장 전략에 더 관심이 크다는 점을 드러낸 분석이다.

경제 이슈는 역대 대선에서도 중요한 선택 기준이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한 직후 치러진 15대 대선에선 경제파탄 책임론이 부각됐다. 16대 대선에선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지역균형 발전’이, 17대 대선에선 경제성장이 화두였다.
국정운영 능력은 2위(20%)를 차지했다. 경제위기와 함께 미국, 중국, 일본 등 한반도 주변 강국의 리더십이 교체되는 시기여서 국정운영 능력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새누리당 지지자(29.6%) 및 박근혜 후보 지지자(32.1%)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권교체와 정치쇄신은 각각 10.6%와 9.9%에 머물렀다. 정권교체 의견은 광주·전라(25.7%), 대학교 재학 이상(20.1%), 화이트칼라(24.6%), 민주통합당 지지자(35.9%) 및 문재인 후보 지지자(36.6%)에서 많았다.
대선 후보들이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 할 문제로 경제성장이란 응답은 26.8%로 가장 높았고 경제민주화(17.4%)가 그 뒤를 이었다. 이어 국가안보와 한반도평화(15.2%), 정치쇄신(13.9%), 복지확대(12.4%), 국가재정 위기(9.6%) 순이었다.

남상훈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