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단속 위해 극단적인 선택 할수도
국지도발·테러 대비 시설물 경비 강화 청와대는 13일 북한의 장성택 전 국방위 부위원장 사형 집행과 관련해 급변하는 북한의 내부 정세에 대한 여러 경우의 수를 놓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데 고심했다. 이날 오전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를 2시간가량 주재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상황변화를 수시로 보고했다. 김 실장은 청와대 인근 모처에서 머물며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큰 관심사는 김정은 북한 국방위 제1위원장의 향후 선택에 모아졌다. 김 제1위원장에게 조언하는 측근그룹이 장 전 부위원장의 사형 등을 주도하며 극한의 공포정치를 이끌고 있어 김정은 체제를 더 공고히 하기 위해 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감안하면 우리 정부가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도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게 청와대의 시각이다. 한 관계자는 “북한이 공포정치를 이어가는 것은 김정은 체제의 안정이 충분치 않기 때문으로 보여 우발적 도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류길재 통일, 김관진 국방장관은 각각 국회 외통·국방위에서 “북한은 내부가 불안하면 외부에 대한 도발을 통해 내부를 단속하는 사례를 과거에 많이 봐왔다”, “북한이 오판해 대남 도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청와대가 이날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긴급히 대응에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회의는 당초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 체결과 관련한 정부 입장 조율 등이 주요 의제였다. 하지만 오전 6시쯤 장성택 사형 소식이 보도되면서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는 대북동향에 대한 보고 및 우리 군의 대비태세 강화 등으로 의제를 바꿨다.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어수선한 북한 내부 분위기를 통제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강력한 메시지를 던질 만한 조치나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고 판단해 관련 정보 수집에 집중하기로 했다. 통일부는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 뒤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최근 북한 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일련의 사태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갖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앞으로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차분한 가운데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동맹국 및 관련국과도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비상 대응체제에 들어갔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안전행정부를 통해 전 공무원의 복무태세 확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4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주재하기에 앞서 김장수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북한의 장성택 전 국방위 부위원장 처형과 관련해 열린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 결과를 보고받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군은 물론 경찰도 북한의 국지도발과 테러를 사전에 막기 위한 대비 활동을 강화키로 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모든 경찰이 힘을 모아 북한 비상 상황에 철저히 대비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찰은 경찰특공대를 비롯한 전국 경찰 작전부대의 출동 태세를 점검하고 해안 침투에 대비해 해안 경계근무를 강화할 방침이다. 경찰은 후방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국가 중요시설과 다중이용시설 등 테러 취약시설에 대한 순찰을 강화하기로 했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