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기차 달리기 좋은 서울로’ 인프라 확충

입력 : 2014-05-01 19:22:15 수정 : 2014-05-01 22:45:31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공영주차장·대형마트 등 거점에, 급속충전기 46곳으로 확대 설치
市 “세제혜택 홍보… 민간보급 확대”
서울시가 친환경 전기자동차 이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전기충전소를 늘리는 등 인프라 개선에 나선다. 전기자동차가 그동안 공공 중심으로 사용돼왔지만 이제 민간 이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1일 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의 경우 공공기관 60대, 전기차셰어링을 포함한 자동차대여사업자 510대, 사회복지법인 20대 등 전기자동차 보급이 공공에만 한정돼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환경부가 내년부터 ‘저탄소차 협력금 제도’를 실시해 민간 전기자동차 보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에 적극 대비하겠다는 게 시의 방침이다.

시는 우선 시내 급속충전기를 늘리고, 안내표지판을 모든 충전소에 마련하는 등 공공충전인프라를 확충·정비하겠다는 계획이다. 환경공단과 함께 급속충전기를 기존 38기에서 46기로 늘리기로 했다. 공영주차장 및 대형마트 등에 설치해 이달 안으로 상용서비스에 들어갈 예정이다.

공공충전인프라로 보급되는 급속충전기는 전기자동차 구매 시 지급되는 개인용 완속충전기보다 충전시간이 9배 빨라 이용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급속충전기의 경우 30분만 충전해도 100㎞를 주행할 수 있는 반면, 완속충전기는 약 4시간을 충전해야 130∼150㎞를 달릴 수 있다. 이용자의 비용부담도 줄어든다. 공공이 구축하는 급속충전기 전기요금은 설치기관이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이다.

시는 앞으로도 기관 간 협의를 통해 대형마트 등 접근성과 가시성이 좋은 서울 주요거점에 급속충전기를 점차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시민들이 급속충전기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표지판도 대폭 늘린다. 안내표지판은 현재 일부에만 마련돼 있지만 시는 새로 확충하는 충전기까지 총 46곳에 마련해 처음 충전기를 사용하는 시민 누구나 쉽게 사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급속충전기 위치는 환경공단의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정보시스템’(http://evcis.or.kr)으로 접속해 확인할 수 있다.

시는 민간이용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세제혜택도 적극 홍보할 방침이다. 전기자동차 이용자에겐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 100% 면제, 수도권 공용주차장 이용료 50% 감면, 전기차 구매 시 차종에 따라 개별소비세 및 취득세 등 최대 420만원 세제 감면 혜택이 주어진다.

혜택을 늘리기 위한 대정부 제안도 이어간다. 유동인구가 많고 시민 접근성이 높은 대형마트 등 대형건축물에 급속충전기 설치를 유도하기 위해 급속충전기 설치 시, 해당 건축물에 교통유발부담금 및 환경개선부담금을 감면하도록 지난달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에 건의했다. 시는 또 민간에서 전기자동차 충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전기사업법’ 개정을 산업통상자원부에 건의한 상태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