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신시가지·상계 주공 등 최대 수혜 정부가 ‘9·1 부동산대책’을 통해 재건축 연한, 안전진단 기준을 비롯한 재건축 사업의 빗장을 벗겨냄에 따라 서울 양천구 목동의 신시가지 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전국 73만5000가구가 당장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재건축 연한을 현행보다 최대 10년 단축하면서 앞으로 재건축을 희망하는 아파트는 준공일로부터 30년만 지나면 사업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1일 서울 양천구 목동의 한 빌딩에서 내려다본 목동아파트 1·2단지의 전경. 목동 1∼14단지 아파트는 이날 재건축 연한을 40년에서 30년으로 단축한 정부의 ‘9·1 부동산대책’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뉴스 |
부동산 업계는 이번 연한 단축과 안전진단 규제 완화로 서울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1∼14단지 2만6629가구가 가장 혜택을 볼 것으로 내다봤다. 이 단지는 1985년 말부터 1988년 말까지 준공한 아파트로 5층 이하의 저층과 15층 이하의 고층 아파트가 혼합돼 있다. 용적률이 단지별로 110∼160%대로 강남권 저층 아파트를 빼면 서울에서 가장 낮은 편이다. 입지여건도 뛰어난 데다 양천구 등이 기본계획도 수립해놓은 만큼 재건축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 주공 1∼16단지 3만여가구도 1988년에 건설됐다. 상계 주공은 용적률이 160% 안팎으로 법정 상한(250∼300%)에 비해서는 여유가 있지만 수익성 문제로 재건축과 리모델링이 함께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노원구 하계 건영·벽산·미성·극동·우성 등의 개별 아파트 단지는 1988∼89년, 마포구 성산 시영(3700가구) 아파트는 1986년 6월에 준공돼 이번 연한 단축의 혜택을 보게 됐다.
강남권에서는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아파트(4494가구 1988년 준공),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5540가구 1989년 〃), 문정시영(1396가구 1989년 〃), 서초구 서초동 삼풍(2390가구, 1988년 〃) 등이 수혜 대상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다만 용적률이 200% 내외인 단지는 연한 단축에도 사업성 문제로 재건축 추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실상 일대일 재건축이거나 일반분양분이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돼 조합원의 추가 부담금이 큰 탓이다.
김동수 한국주택협회 실장은 “국회에 계류 중인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분양가상한제 등도 함께 완화돼야 재건축 사업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