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조용호의 나마스테!] 죽음과 독하게 대면… “결국 남는 건 리듬 같은 것”

입력 : 2016-06-09 20:59:35 수정 : 2016-06-10 01:11:5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시집 ‘죽음의 자서전’ 펴낸 김혜순 시인 “결국 남는 건 리듬, 어떤 박자 같은 것… 거기에 우리가 휩쓸려가는 거죠. 그 리듬에 사계절이 움직이고 밤낮이 계속되고 시간의 지우개도 다 들어 있어요. 안산이라는 곳에 꽃이 만발하면서, (죽음들이) 싹 없었던 일이 되면서, 국회의원 선거 플래카드가 내걸리면서, 제가 생각하고 떠올렸던 죽음들마저 그 리듬 속으로 다 들어가고 말더라고요. 그 흐릿한 리듬을 관장하는 흐릿한 분을 본 것 같은 느낌도 들었습니다.”

지난 주말 오후 김혜순(61·서울예술대 교수) 시인을 서울 성북구 한 카페에서 만났다. 독하게 죽음과 대면하고 난 뒤 어떤 느낌이었느냐는 질문에 시인이 말한 건 허무하게 반복되는 세상의 ‘리듬’에 관한 것이었다. 소설가 이인성이 주도적으로 꾸리는 ‘문학실험실’에서 첫 단행본으로 최근 펴낸 그의 시집 ‘죽음의 자서전’에는 죽음을 정면으로 바라본 49편의 시가 실렸다. 죽은 이의 혼이 저승으로 떠나기까지 이승에 머문다는 49일을 하루 단위로 쪼개어 죽음을 말하는, 49편의 시가 한편의 시로도 읽히는 시집이다. 지난해 지하철 역에서 쓰러졌던 경험을 토대로 시의 화자가 죽은 자신의 몸에서 나와 혼으로 떠돌며 죽음을 말하는 형식이다. “저 여자는 죽었다. 저녁의 태양처럼 꺼졌다./ 이제 저 여자의 숟가락을 버려도 된다./ 이제 저 여자의 그림자를 접어도 된다./ 이제 저 여자의 신발을 벗겨도 된다.”(‘출근_하루’)로 시작해 “온 세상에 내려앉아서 울며 불며 수런거리며 눈속에 파묻힌 눈사람 같은 네 몸을 찾지 마요, 예쁘게 접은 편지를 펴듯 사랑한다 어쩐다 너를 그리워 마요”(‘마요_마흔아흐레’)로 끝난다. 

김혜순은 1979년 ‘문학과지성’을 통해 등단한 이래 11권의 시집을 내면서 한국 시단에서 여성시의 독특한 전범을 구축해왔다. 도발적 상상력으로 새로운 내용과 형식에 대한 갈증을 다양한 형태로 분출해왔다. 김수영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미당문학상, 대산문학상 등 굵직한 상을 모두 휩쓸었고 해외, 특히 미국에 그의 시들이 많이 번역돼 반응이 뜨거운 편이다. 올봄에는 프랑스에서 그의 시집 세권이 한꺼번에 출간돼 파리 낭트 등지에서 열린 낭독회에도 참석했다. 그가 5년 전 ‘슬픔치약 거울크림’을 낸 이후 올해 한꺼번에 시산문집 ‘않아는 이렇게 말했다’와 죽음을 천착하는 시집 ‘피어라 돼지’를 낸 데 이어 이번에는 직접 자신의 죽음을 그린 시집까지 내면서 ‘죽음의 굿판’을 한판 크게 벌인 셈이다.

“시인은 죽음, 소멸이라는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존재지요. 시적 감수성이라는 게 일종의 죽음에 대한 선험적 체험 같은 게 아닐까 생각해요. 죽음의 자서전을 내고 나니 깊은 병에 걸려서 죽음 직전까지 다녀온 이가 어떤 해방감이나 그 전과는 다른 시선으로 세상을 보게 되는 느낌, 한번 더 눈이 떠지는 그런 느낌이에요. 그래서 투명하고 밝아진, 현실적으로 말하면 조금 더 관용적인 눈을 뜬 것 같기도 해요. 생육하고 번성하다 소멸한다는 것에 대한 관용 말입니다.”

자신의 죽음을 상정해 시집으로 묶어낸 김혜순 시인. 그는 “원치 않는 결혼을 피하기 위해 죽음을 먼저 죽은 것은 아닐까 생각했다”면서 “시 안의 죽음으로 이곳의 죽음이 타격되기를 바랐다”고 ‘시인의 말’에 썼다.
교사 부부의 5남매 중 장녀로 외가인 경북 울진에서 태어난 김혜순은 초등학교 졸업 무렵까지 부모와 떨어져 외할머니 밑에서 자랐다. 수학 교사였던 부친이 전근이 잦은 데다 동생들이 차례로 태어나 외가에 맡겨졌던 것인데 서점을 하는 외가에서 외할머니의 넘치는 사랑을 받으며 자랐으니 이 시절 이미 시인의 뿌리가 내려졌음 직하다. 어머니가 다니러 오면 좋아서 까무러칠 정도로 감정이 풍부한 아이였다. 각종 백일장대회를 휩쓸기는 했지만 그걸로 문학을 했다고 여기지는 않는다.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강원대 국문과)에 입학하기 전까지 3개월 동안 두문불출 세계문학을 섭렵했다. 이후 대학에 들어가서 도서관에 가보니 대부분 그네가 모두 읽은 책들이었다고 한다. 본격적인 문학의 길은 이때부터 시작됐다. 대학 졸업 무렵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으로 먼저 당선됐고 이듬해 ‘문학과지성’으로 데뷔한 이래 시의 외길을 달려왔다. 그가 써 온 시들은 대중보다는 문학에 대한 이해가 깊은 독자들 사이에서 각광받아온 편이다.

“시는 현실에서 떠 있는 다른 차원의 말이라고 생각하고 봐줘야 하는데 그런 게 없는 게 우리나라 독자 같아요. 그렇게 보면 어렵지 않거든요. 예술이라는 게 원래 어려운 거고, 아름다운 걸 원하는 게 어려운 거거든요. ‘시의 나라’에는 그 나라의 말이 있고 문법이 있고 그 나라의 세계가 있으니 그 안에도 정서가 있어요. 그림을 볼 때도 조금 알면 입체적으로 더 잘보이거든요. 시도 한국어로 쓴다고 해서 30분 안에 다 독파되는 게 좋은 시집인지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김혜순은 “시는 오해받는 장르”라고 했다. 그는 “어떤 예술작품이든 땅에 파묻으면 자기 것이겠지만 세상에 내놓았을 때는 향유자들의 그릇의 크기 또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면서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그건 그의 것이라고 생각하면 제가 편하다”고 말했다. 사실 그는 인터넷서점의 댓글들에 상처를 적지 않게 받은 편이다. 해외에서 책을 낼 때는 그런 일이 거의 없고 댓글도 대부분 점잖은 편이라고 했다. 심지어 외국 저널에 인터뷰한 글에도 한국인들이 찾아와 폭력적인 댓글을 다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최근 한국 현대시를 영어로 번역해 해외 문단에 알리고 있는 제이크 르빈이라는 젊은 시인이 한 매체와 나눈 인터뷰에서 “도발적인 상상력으로 독특한 미학을 구축해온 김혜순 같은 여성 시인”을 극찬하더라고 전했더니 정작 김혜순은 그를 알지 못했다.

김혜순의 시는 미국에 많이 번역 소개된 편이어서 르빈도 자신의 작품을 접했던 것 같다면서 국내보다 해외에서 오히려 리뷰가 활발하고 높이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김혜순의 시집 ‘당신의 첫’ 영역으로 미국에서 아시아문학 번역상까지 받은 최돈미씨가 시인에게 전해주는 해외 반응이다. 김혜순의 상상력이 처음 보는 것이라거나 미국 현대시가 중단된 어떤 지점에서 다시 시작하게 하는 상상력이라고 평가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그의 시에서 타자를 대하는 태도가 정치적이라고 평하고 그로테스크한 상상력, 호러영화 보는 느낌, 리드미컬한 언어 사용 등을 지적하는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고 했다. 끊임없이 새로운 형식과 내용을 추구하는 것이야 모든 예술의 숙명이겠지만 김혜순의 경우는 이런 태도에 특히 철저한 편이다.

“시 한 편 한 편마다 몸을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시인의 몸을 바꾸어야 또 한 편이 나오고 매번 시에 대한 다른 정의를 내려야 되기 때문이죠. 힘든 건 모르겠어요. 저는 시집을 내고 나면 돌아보지 않아요. 평론가들이 제 시를 인용한 걸 보면 낯설어요. 빨리 잊어야죠. 버려야죠. 늘 도망 중인 것 같아요.”

그가 데뷔하던 무렵인 1970년대 후반 출판사에 근무할 때 검열 당국에 자신이 들고 간 저자의 원고들이 빨갛게 지워질 때 그는 절대로 지워지지 않은 글을 쓰겠다고 다짐했다고 한다. 검열자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행간에 자신의 의도를 구부려서 넣으려는 무의식이 그때부터 그의 시의 한 특징으로 굳어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에게 ‘도망’은 그러니 많은 것들을 놓아두고 잊어버리고 버려온 시의 행로를 일컫는 상징적인 단어인 셈이다. 내내 데리고 다니던 죽음은 이번 시집에 다 내려놓았다는 시인은 이제 일상적인 유머 코드가 담긴 시들을 쓸 것 같다고 말했다. 검은 옷이 환했다.

조용호 문학전문기자 jho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혜성 '심쿵 눈빛'
  • 정혜성 '심쿵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김혜수 '천사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