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손 잡은 라인·야후재팬… 美·中 거대 플랫폼에 도전장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9-11-19 06:00:00 수정 : 2019-11-19 07:39:20

인쇄 메일 url 공유 - +

네이버·소프트뱅크 자회사 경영 통합 / 지분 50%씩 출자… ‘통합 ZHD’ 설립 / 이용자 1억명 보유한 디지털 플랫폼 / 아마존·바이두 인터넷패권 대항마로 / 핀테크·AI 기반서비스로 성장 가속화 / 2020년 10월까지 통합작업 마무리 계획
이데자와 다케시 네이버 일본 자회사인 라인 사장(오른쪽)과 가와베 겐타로 소프트뱅크의 Z홀딩스(ZHD) 사장이 18일 양사 합병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손을 맞잡고 있다. 도쿄=AFP연합뉴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와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이 손잡고 미국과 중국의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손정의 소프트뱅크회장(오른쪽)과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가 18일 일본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소프트뱅크의 Z홀딩스(ZHD) 주식회사와 네이버 일본 자회사인 라인의 경영통합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ZHD의 대주주는 40% 지분을 보유한 소프트뱅크다. 세계일보자료사진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인 라인 주식회사와 일본 포털 업체인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소프트뱅크의 Z홀딩스(ZHD) 주식회사가 18일 통합기본합의서와 자본제휴기본합의서에 서명하고 통합 추진을 공식 선언했다.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 최고경영자(CEO)와 가와베 겐타로 ZHD CEO 등 양측 관계자는 이날 오후 도쿄 미나토구 다카나와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 기자회견 열고 향후 통합 절차와 의미, 전망 등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양측은 다음 달 중으로 본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10월까지 통합 절차를 마친다는 목표다. 현재 라인의 대주주는 네이버(지분 70% 이상)이고 야후재팬을 운영하는 ZHD의 대주주는 소프트뱅크(〃 40%)다. 양측이 발표한 통합 방식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씩 출자해 조인트 벤처(JV)를 설립한 뒤 JV가 라인과 ZHD의 통합회사로 새롭게 출범하는 ‘통합 ZHD’의 최대 주주가 된다.

통합 ZHD는 메신저 플랫폼인 라인, 포털인 야후재팬은 물론 커머스 플랫폼인 야후 쇼핑과 조조, 금융서비스인 재팬넷뱅크, 인터넷 미디어인 버즈퍼드 등을 산하에 둔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 주식 전부를 취득하기 위해 공개 매수에 나선다. 공개매수에서 라인 주식을 전부 취득하지 못하면 주식병합을 이용해 라인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전부 보유하는 회사로 만든 후 상장을 폐지할 예정이다.

 

현재 전 세계 인터넷 업계는 미국의 GAFA(구글·애플·페이스북·아마존)와 중국의 BATH(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화웨이)가 주도하고 있다. 이번 통합이 마무리되면 미·중의 인터넷 패권에 맞서 한·일 주도로 이용자 1억명 규모의 디지털 플랫폼이 부상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인 메신저는 일본에만 이용자 8000만명을 보유하고 있고, 대만·태국·인도네시아 등을 합하면 보유 이용자가 총 1억6400만명에 달한다. 야후 재팬은 이용자 5000만명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 2위 검색엔진이며 결제 서비스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었다.

 

양측은 서로 보유하고 있는 고객 빅데이터와 기술, 자본을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영역에서 일본과 동남아를 기반으로 구글,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에 대항할 것으로 보인다. 손정의 회장은 지난 7월 4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AI는 인류 역사상 최대 수준의 혁명을 불러올 것”이라며 “앞으로 한국이 집중해야 할 것은 첫째도 인공지능, 둘째도 인공지능, 셋째도 인공지능”이라고 말한 바 있다.

네이버는 “이번 경영통합이 핀테크 분야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기술을 통한 새로운 사업영역 진출 가능성을 높인다고 판단했다”며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와 경쟁할 수 있는 AI 기반의 새로운 기술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성공적인 통합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양측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통합 ZHD의 경영권 행사 방식과 관련해 향후 협상 과정에서 이견을 노출할 우려가 있다. 이후 경영 과정에서도 신산업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문제를 포함해 구체적인 사업 방식을 놓고도 의견을 달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도쿄=김청중 특파원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