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환경규제는 생산비용과 제품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기업경쟁력을 악화시키고 소비자에게 부담을 준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8일 발표한 매출액 600대 기업 대상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0.2%가 환경규제가 강화됐고, 이것이 제품가격 인상요인이 된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한경연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6일부터 21일까지 진행했고, 응답 기업은 133개사다.
조사대상 기업의 87.2%는 20대 국회 들어 환경규제가 강화됐다고 했다. 이 중 72.8%는 강화된 환경규제가 생산비용과 제품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기업들은 부담스러운 환경규제로 이행능력 및 기업현실과 괴리된 이상적인 규제기준(51.9%), 모호한 세부지침으로 인한 법 위반 가능성(36.8%), 잦은 점검 및 자료제출 요구 등으로 인한 행정적 부담(33.1%) 등을 꼽았다.
이행부담이 큰 환경규제로는 배출권거래법 등 대기 관련 규제(38.6%)와 화학물질등록평가법·화학물질관리법 등 화학물질 규제, 폐기물관리법·자원순환기본법 등 폐기물 및 자원순환 관련 규제(17.3%) 등이 지목됐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현실에 맞지 않는 과도한 환경규제는 기업 활력을 저해할 뿐 아니라 소비자 편익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난 극복을 기치로 건 21대 국회에서는 현실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규제를 통해 기업과 소비자의 부담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