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순금 99.5%와 99.9% 별 차이 없어… 디자인만 보세요” [‘金의 배신’]

, ‘金의 배신’

입력 : 2020-10-15 06:00:00 수정 : 2020-10-15 13:20:5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종로3가 ‘귀금속 거리’ 르포
세계 최고 물동량… 매장 수백개 달해
한돈짜리 돌반지 달라하니 99.5% 내놔
‘순도 두가지 통용’ 아무런 설명도 안 해
목걸이·반지 99.9% 제품은 거의 없어
순도 논쟁 속 불량업자들만 배불려

“우리나라에선 995(금 함량 99.5%)부터는 다 똑같은 순금이에요. 가격 차이도 없어요. 나중에 파실 때 999(〃 99.9%)라고 더 쳐주는 것도 아니고요.”

지난달 28일 찾은 서울 종로3가 귀금속 거리. 세계 최고의 물동량과 집적도를 자랑하는 곳답게 수백개의 매장이 줄지어 있다. 대부분 ‘최고가 금 매입’, ‘최저가 판매’, ‘예물·귀금속 도매 전문’이라고 붙여놔 어디부터 발을 들여놔야 할지 매장을 고르기부터 쉽지 않다. 도매라고 쓰여 있지만 소매를 위주로 하는 대로변 가게가 있는가 하면, 조금 안쪽으로 들어가면 소매점과 똑같이 생겼어도 일반 소비자는 문전박대당하기 십상인 진짜 도매점이 있다. ‘○○ 금거래소’라고 적힌 간판도 곳곳에서 눈에 띄는데 공인 기관처럼 느껴지지만 정부가 설립한 KRX 금시장과는 관련 없는 일반 민간 판매업체다.

최고, 최저, 도매, 거래소란 말을 액면 그대로 믿을 수 없듯 금은 소비자와 판매자 간 정보 비대칭이 심한 업종이다. 순금 매매의 경우도 그렇다.

소비자에게 순금은 24K와 동의어다. 도금이나 합금을 24K로 작정하고 속여 파는 경우가 아니라면 ‘순금=24K’라는 공식에 다른 게 틈입할 여지는 없다. 그래서 판매자가 순금 제품을 소개하면 그다음 디자인을 고르고 가격을 흥정하는 순서로 넘어가는 게 보통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24K는 순금이지만, 모든 순금이 24K는 아니다. 국가기술표준원의 ‘귀금속 및 그 가공제품 순도 규정’(KS D 9537)을 보면, 순금과 24K 사이에는 ‘틈’이 있다. 순금 가운데 골드바 같은 금괴는 99.99%, 돌반지 같은 24K 제품은 99.9% 이상의 순도를 보여야 한다. 다만 땜 처리가 된 가공제품일 경우에는 순도 99.5% 이상도 ‘순금 제품’으로 본다고 돼 있다. 목걸이 체인처럼 금을 잘라 다시 이어붙이는 경우 연결 부위에 한해 순도가 99.9%에 미치지 못해 24K는 아니지만 순금으로 인정받도록 예외를 뒀다. 세공이 들어가는 금제품에 대한 기술상의 허용치를 둔 셈이다.

우리나라는 10년 전까지 금을 포함한 귀금속 품질에 관한 제대로 된 규정이 없었다. 그러다 2011년 KS D 9537이 제정됐는데 순도 99.5%와 99.9%가 모두 순금으로 포함됐다. 명확한 기준 없이 두 제품이 순금으로 유통되는 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2013년 땜 가공제품의 종류를 구체화하는 형태로 규정이 개정됐다. 그럼에도 예외적으로 허용한 99.5%의 순금이 지금까지도 전체 순금 제품의 표준 혹은 24K처럼 통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형태의 돌반지는 땜 가공이 들어가지 않아 99.9%의 24K 순금으로 제작, 판매돼야 한다. 그러나 세계일보가 10개 매장에서 ‘24K 한돈짜리 돌반지’를 보여달라고 했을 때 모든 매장이 99.5% 제품을 소개했다. 순금에 99.5%와 99.9%가 있다는 걸 먼저 설명해 주는 경우는 단 한 곳도 없었다.

A매장 판매원은 “우리나라는 995부터 24K이기 때문에 살 때나 팔 때나 가격 차가 없다”고 했고, B매장에서는 “995라고 덜 받고, 999라고 더 받는 건 없으니 디자인만 보라”고 했다.

소비자가 순금에 대해 잘 모른다는 점, 99.5%와 99.9%의 금액 차가 몇천 원 단위로 작다는 점을 악용해 수십년째 함량 미달의 금이 유통되고 있는 것이다.

 

목걸이와 성인용 반지는 99.9% 제품을 찾기가 더 어려웠다. C매장 직원은 “999는 그것만 따로 파는 매장에 가서 구해야 한다”며 “999라고 해도 공임 좀 더 들어가는 정도인데 괜히 소비자를 현혹해서 비싸게 받으려고 999 강조하는 것”이라고 했다.

국내 금 시장에서는 ‘(제조)공장→도매→소매’ 사이 결제가 대부분 현금이 아닌 순금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금 순도 문제는 시장 참여자들에게도 무척 민감한 문제다.

공장과 도매 간 금 거래를 중개하는 D씨는 “금을 수수료로 받는 입장에서 당연히 999 이상의 순금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일일이 순도를 확인하며 거래하는 건 아니다”라며 “그래서 아예 순금은 999 이상으로 통일하자는 움직임이 있었던 것 같은데 잘 안 되는 것 같다”고 했다.

D씨의 이야기대로 99.5%를 순금의 범주에서 아예 빼자는 주장도 있다. 차민규 한국귀금속중앙회(소매상 모임) 전무이사는 “업자들은 생산시설이 열악하다, 공정상 어렵다고 하면서 땜 제품은 995를 고수해야 한다고 하지만 전혀 사실이 아니다. 중국에선 이미 포나인(99.99%) 제품까지도 나온다”며 “999를 받아 (0.4%를 떼어내) 995를 내놓고, 여기에 분석료(금 순도를 99.5%에서 99.9%로 높이는 비용)는 분석료대로 챙기려는 집단이 있어 995 금이 사라지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14일 금을 매매하러 온 소비자와 상인들이 서울 종로구 귀금속 골목을 지나고 있다. 종로에는 제조·도매·소매 업체 약 3000개가 밀집해 있다. 이제원 기자

소매상은 불량금 유통의 책임을 도매총판이라고 주장한다. 도매총판이란 각 금은방으로부터 제품 주문을 받은 뒤 일감을 제조공장에 주고, 완성된 제품은 다시 금은방에 납품하는 일종의 도매상이다. 귀금속중앙회 관계자는 “금은방들이 도매총판에 고금을 맡기고 999 제품으로 만들어달라고 비용을 지불해도 995로 만들어 납품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반발하면 도매총판이 납품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금은방 입장에선 당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반대 의견도 팽팽히 맞선다. 정의철 한국순금협회(도매상 모임) 회장은 “한국에서 순금제품을 만드는 공장 대부분 직원 한두 명이 제품을 만드는데 (99.9% 이상 순도를 올릴 수 있는) 몇천만원 하는 레이저 땜기나 1억원짜리 프레스기를 들여놓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기표원에서도 그런 현실적인 부분을 인정해 기준을 만들었을 것”이라고 했다. 한 도매총판업자는 “제작 과정에서 금 함량의 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이걸 줄이려면 장비를 모두 새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대다수 영세한 공장들은 감당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갈등의 골이 깊지만 논란의 단초가 된 표준고시 KS D 9537은 아무 힘을 못 쓰고 있다. 표준고시 자체가 준수 의무가 있는 법은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기표원 관계자는 “(땜이 없는 순금 제품을 99.5%로 만들어 판 경우) 원래 불공정거래에 해당할 수 있지만, KS는 그런 문제를 다룰 권한은 없다”며 “KS 규정 자체가 잘못됐다기보다는 업계에서 995를 관행처럼 순금으로 판매하는 게 문제이므로 업계 자정능력을 키우는 게 먼저인 것 같다”고 전했다. 도소매 간 금 순도 논쟁이 평행선을 달리고, 당국은 수수방관하는 동안 소비자는 함량 미달의 24K 금을 사고, 누군가는 수십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기고 있는 셈이다.

 

특별기획취재팀=안용성·윤지로·배민영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