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 “증오범죄와 코로나19 직접 연계하는 것은 이상”

미국 상원이 아시아계를 겨냥한 증오범죄 방지법안 추진에 초당적으로 합의했으나 법안 조문 작성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핵심 변수로 등장했다. 민주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불러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범죄를 부추긴 책임이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법안 조항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공화당은 트럼프와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범죄를 직접 연계하는 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양측 간의 입장 차이로 이 법안 조문 작업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미 의회 전문지 더 힐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상원은 지난 14일 합법적인 의사 진행 방해 수단인 필리버스터를 건너뛰고 곧바로 법안 토론에 들어가기로 했다. 당시 토론 생략을 위한 표결에서 찬성 92, 반대 6표가 나왔다. 미 의회에는 민주당의 메이지 히로노 상원의원(하와이)과 그레이스 멩 하원의원 (뉴욕)이 각각 상·하원에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범죄를 막는 내용의 법안을 제출했었다. 민주당의 리처드 블루멘탈 상원의원(코네티컷)도 별도의 증오 방지법안을 발의했다. 미 의회는 이들 법안을 병합해 단일 법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법안 발의자인 히로노 상원의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코로나19 팬데믹에 대처하면서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를 조장한 것을 포함해 인종 차별적인 언행을 한 사실을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더 힐이 전했다. 아시아계인 태미 덕워스 상원의원(민주, 일리노이)은 ”트럼프가 반복해서 바이러스 문제에 인종주의적으로 접근함에 따라 아시아계를 비난하는 말과 행동이 급증했다”고 강조했다.
공화당 내 대표적인 온건파로 트럼프 전 대통령 탄핵안에 찬성표를 던졌던 수전 콜린스 상원의원(메인)은 “증오범죄와 코로나19를 직접 연계하는 것은 이상하다”고 반박했다. 공화당은 민주당이 법안 문구를 순화하지 않으면 이 법안 처리에 협력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더 힐이 전했다.
공화당 의원들은 아시아계 유권자들의 표를 의식해 드러내놓고 증오범죄 방지법안 추진에 반대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의 책임론이 제기되면 그가 강력히 반발할 것이라는 게 공화당 의원들의 판단이다. 공화당은 법안에 증오범죄에 관해 개괄적으로 언급한 내용을 담자고 맞서고 있다. 특히 이 법안 추진에 반대하는 테드 크루즈(공화, 텍사스) 상원의원은 이 법안에 중국에 대한 비판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숨어 있다고 주장했다. 토미 튜버빌 상원의원(공화, 앨라배마)은 “이 법안이 트럼프를 겨냥하고 있다”고 말했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 대표는 이 법안에 대한 수정안을 받아들여 논의를 계속할 것이고, 이르면 이번 주 내에 법안을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이 법안에는 사법 당국의 신속한 증오범죄 대응 의무화, 증오범죄 피해자의 온라인 신고 시스템 구축, 증오범죄를 막기 위한 교육 강화 등의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고 외신이 전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