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젊은 남성의 심근염 발생 위험이 화이자 백신보다 5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돌파 감염 사례는 더 적었다.
폴 버튼 모더나 최고의학책임자(CMO)는 11일(현지시간) 기자들과의 전화 브리핑에서 프랑스 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고 CNBC가 보도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모더나 백신을 접종한 12세~29세 남성의 심근염 발생 비율은 인구 10만 명 당 13.3명이었다. 화이자 2.7명보다 약 5배 높았다.
버튼 CMO는 그 원인을 찾고 있다면서도 호르몬, 특히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의 작용 가능성과 화이자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메신저리보핵산(mRNA)을 사용하는 것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테스토스테론이 이 가설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 호르몬과 관련된 염증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또 2차 접종까지 mRNA 100㎎을 사용하는데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치를 약간 더 높이는 것이 중요한 원인일 수도 있다"고 추정했다.
다만 부스터 샷(3차 접종)을 맞은 이들에겐 아직까지 심근염이 발생한 사례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제까지 보고된 심근염의 경우 대체로 경미하고 증상이 저절로 해결됐다"며 "우리는 발생 사례들을 계속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유럽은 지난 7월 청소년에 대한 모더나 백신 투여를 승인했지만 핀란드와 스웨덴 등 일부 국가는 심근염 발생에 대한 우려로 30세 이하에 사용하는 것을 중단했다.
버튼 CMO는 또 모더나 백신이 화이자 백신에 비해 돌파 감염 사례가 적었다는 점도 홍보했다.
그는 같은 자료를 인용해 "모더나 백신의 경우 돌파 감염 사례가 인구 10만 명 당 86명이었지만, 화이자는 135명이었다"고 설명했다.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은 접종자에 비해 사망 위험이 11배나 높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버튼 CMO는 "미 보건당국이 신중하게 데이터를 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동시에 백신 사용을 계속 권장하고 있다다"며 백신을 맞았을 때의 이익이 맞지 않았을 때의 위험을 능가한다고 피력했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