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는 시가 설립한 공사, 공단, 출자·출연기관 등 ‘울산시 산하기관’으로 통칭하던 것을 ‘울산시 공공기관’으로 부르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대상은 울산시설공단 등 공기업 2개, 울산경제진흥원 등 출연기관 11개 등 총 13개 기관이다.
울산시 공기업 및 출자ㆍ출연기관은 시 소속기관이 아닌 별개 기관이지만, 시의 재정지원, 지도ㆍ감독 등을 받아 관할 아래 있다는 의미의 ‘산하기관’이라 불러왔다.
‘산하기관’은 법적인 용어는 아니며 관행적으로 쓰이는 말로 다소 권위적·수직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앞으로 울산시는 대내·외 행사, 회의, 공문서 등에 공기업 및 출자·출연기관을 아우르는 정식용어인 ‘공공기관’으로 사용하고, 기존 홈페이지 등에 내용도 정비할 계획이다.
민간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활용해 시민 복리 증진, 지역경제 등 분야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설립한 공공기관의 설립 취지, 독립성 및 자율성을 존중하기 위한 취지라고 시는 설명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에 대해 ‘산하기관’이라는 말을 쓰지 않기로 했다”면서 “공공기관과 동반자적 입장에서 상호 협력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