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당 내홍과 최고위원 사퇴 등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규정짓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을 가시화했다. 비대위 체제가 출범하면서 지금까지 원외 여론전을 통해 복귀를 기다려 온 이준석 당대표의 복귀도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국민의힘 상임전국위원회는 5일 당의 현 상황이 비상상황에 맞다고 결론 짓고, 당대표 직무대행에도 비대위원장 임명권을 두도록 하는 당헌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상임전국위원회에는 상임전국위원 54명 가운데 40명이 참석했다.

서병수 전국위원회의장은 상임전국위에서 “당이 처한 현 상황이 당의 비상상황에 해당한다는 당헌 유권해석을 의결했다”고 상임전국위 결과를 전했다. 참석자 40명 가운데 29명이 현 상황이 비상상황이라는 해석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20%대로 추락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과 문자파동으로 대표되는 윤핵관(윤 대통령 측 핵심관계자)을 둘러싼 논란, 배현진, 조수진, 윤영석 최고위원의 사퇴에 위기의식이 팽배했다는게 안팎의 평가다.
특히 이날 의결로 인해 지금까지 복귀를 희망해온 이 대표의 염원도 불가능하게 됐다. 이날 위원회에서 위원들은 당대표 직무대행에도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수 있게 하는 최고위의 당헌 개정안과 이준석 대표가 복귀할 수 있도록 명시하는 조해진, 하태경 의원의 당헌 개정안을 두고 무기명 투표를 했다.
최고위안에는 26명이 찬성했고, 10명은 조해진, 하태경 의원의 제안에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임전국위가 이날 비대위 체제를 추인하면서 이 대표의 복귀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상 비대위가 구성되면 최고위, 지도부가 해산한다는 조항이 있기 때문이다.

성상납을 둘러싼 증거인멸 논란으로 당 중앙윤리위원회로부터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은 이 대표는 지금까지 전국을 돌며 지지층 결집에 나선바 있다. 2030 국민의힘 지지층을 중심으로 향후 당에 복귀해 총선을 위한 교두보로 삼겠다는 계획이었다. 특히 현직 국회의원이 아닌 이 대표의 경우 당 대표로서 직위를 인정받지 못하면서 자연스레 정치적 생명까지 염려해야하는 상황이다.
이 대표는 이날도 윤석열 대통령과 윤핵관을 공개 비판하며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여론전을 이어갔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앞서 윤 대통령이 자신을 ‘내부총질이나 하던 당 대표’라고 표현한 것을 두고 “한심한 인식”이라고 비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