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표 방북 비용 취지로 진술
“李, 고맙다고 해” 통화사실 인정
李 “檢 신작소설… 잘 안 팔릴 것”
檢 김만배·정영학 ‘대장동’ 조사
유동규 “李, 들통나면 다른 말”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검찰 조사에서 북한에 전달한 돈의 액수를 800만달러라고 특정하며 이 중 300만달러는 당시 경기지사였던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방북을 위한 것이라고 진술했다. 또 부인하던 이 대표와의 통화 사실도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구속수감돼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김영남)에서 조사를 받아온 김 전 회장은 최근 ‘대북 경제협력 사업권을 위한 대가’라고 주장해왔던 대북 송금 이유에 대해 진술을 바꿨다. 그는 2019년 1월과 4월에 건넨 500만달러는 ‘경기도의 북한 스마트팜 지원사업 비용’이며, 11월에 건넨 300만달러는 ‘당시 도지사였던 이 대표의 방북을 위한 비용’이라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검찰이 관련 자료를 제시하며 추궁하자 결국 이같이 털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기도의 북한 스마트팜 지원은 2018년 추진된 사업으로 이화영 당시 경기도 평화부지사(구속기소)가 같은 해 10월 북측과 합의했다고 발표한 6개 교류협력 사업에 포함된 내용이다. 이와 관련해 북측이 쌍방울에 “경기도가 약속한 스마트팜 지원 비용 50억원을 대신 지원해달라”고 했고, 김 전 회장이 이에 응했다는 것이다.
김 전 회장은 ‘이 대표와 전화 통화한 적이 없다’고 주장해온 진술도 뒤집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와 통화에서 고맙다고 말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의 진술을 토대로 대북 송금 규모와 배경을 더욱 구체화하고, 쌍방울이 경기도를 대신해 거액을 건넨 이유 등에 대해 규명할 예정이다.
이 대표는 ‘검찰의 신작 소설’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아마 검찰의 신작 소설이 나온 거 같은데 종전의 창작 실력으로 봐서 잘 안 팔릴 것”이라고 비꼬았다. 검찰 출석 일자 조율 여부를 묻는 말에는 답하지 않았다.
대장동·위례 신도시 개발 사업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3부(부장검사 엄희준·강백신)는 이날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인 김만배씨와 정영학 회계사를 불러 조사하며 이 대표의 추가 소환을 대비했다. 검찰은 두 사람에게 천화동인 1호의 ‘실소유주’ 문제 등 지난 28일 이 대표가 검찰에 제시한 진술서의 사실관계를 교차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회계사의 녹취록을 통해 논란이 된 천화동인 1호의 ‘그분’ 몫에 대해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등은 ‘이재명 측’에 약속한 몫이 있다고 주장한다. 반면 김씨는 천화동인 1호 명의자인 본인의 소유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 대표도 진술서를 통해 천화동인 1호의 존재도 몰랐다고 부인했다.

유 전 본부장은 이날도 “(이 대표가) 모든 걸 부인하고 있고 들통나면 또 다른 말을 하는 일이 반복된다”고 지적하며 이 대표 측이 대장동 수익 중 일부를 받기로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일(대장동 개발)이 일사천리로 진행됐는데, 어떻게 일사천리로 다 진행될수 있었겠나”라며 사업의 배후로 이 대표를 재차 지목했다.
이날 서울중앙지법 형사23부(재판장 조병구)는 대장동 사업 편의 제공의 대가로 1억4000만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 등으로 기소된 이 대표의 최측근 정진상 전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에 대한 첫 공판준비기일을 진행했다.
정 전 실장 측은 재판에서 혐의를 모두 부인하면서 검찰의 공소가 위법하다는 주장을 폈다. 정 전 실장 측 변호인은 33쪽 분량의 공소장 중 절반 가량이 ‘모두(冒頭)사실’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검찰이 법관에 예단을 갖게 하려는 의도가 명백하다”고 지적했다. 정 전 실장은 또 자신에 대한 구금이 부당하다는 취지로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제청을 신청했다. 전날 보석을 청구한 데 이어 불구속 재판을 받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