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직무 스트레스 높으면 노동생산성도 떨어져”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5-07 17:16:54 수정 : 2023-05-07 17:16:5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노동 생산성 손실도 급격히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강모열()사진교수팀은 2021년 경제활동을 하는 성인 107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KOSS-SF·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를 활용해 직무 스트레스를 산출하는 한편 ‘결근·조퇴·지각 등으로 인한 근로시간 손실’과 ‘출근은 했지만 업무수행 능력이 저하돼 발생한 생산성 손실’로 나눠 노동 생산성 손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직무 스트레스가 낮은 군에 비해 중간·높은 군의 노동생산성 손실이 약 20%포인트 더 많았다. 직무 스트레스를 7개 영역별로 조사한 결과, 직무 자율성과 관계 갈등을 제외한 직무요구·직무불안정·조직체계·보상 부적절·직장문화 등 5개 부문에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높은 군의 노동 생산성 손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

 

직무 스트레스는 노동자가 직무 수행의 압박감을 받아 나타나는 몸과 마음의 반응으로, 삶의 질과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직무 만족도와 직무 몰입도를 떨어뜨리고, 의료 이용과 재해 발생률을 증가 시키는 등 사회적 부담도 유발한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직무 스트레스 관리는 성공적인 기업 운영을 위해 중요하며 이를 적절히 관리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노동자들의 건강상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나빠진 건강 상태는 결국 근로자들의 노동 생산성을 떨어진다는 것이 증명됐다"면서 "결국 구성원들이 건강하게 일 잘하는 조직을 만들고 싶다면 스트레스 요인을 최소화로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에피데미올로지 앤 헬스(Epidemiology and Health)’ 3월호에 실렸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