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필요성 못 느껴서” “출산·양육 부담에…”
‘결혼 긍정 응답’ 10년 새 20%P나 줄어 36%뿐
여자 28%, 남자 44%… 성별 따라 온도차도 커
‘비혼 출산’ 찬성 응답 40% 육박… 가치관 변화
취업 준비 중인 대학생 A(28)씨에게 결혼은 먼 얘기다. 언젠가는 가정을 꾸릴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안정적인 직장과 충분한 저축, 주택 마련 등 경제적인 환경이 뒷받침된 뒤에야 결혼도 고려해볼 수 있다는 게 A씨 생각이다. 그는 “집안 사정이 넉넉하지 않아 물려받을 재산이 거의 없기 때문에 지금은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환경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아이를 키우는 데도 천문학적인 돈이 드는 게 현실이라 아이를 꼭 낳아야겠다는 생각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19~34세)이 3명 중 1명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2년만 해도 청년의 절반 이상이 결혼에 긍정적이었지만 10년 새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급감한 것이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10명 중 3명 이상은 ‘결혼자금 부족’을 꼽았다.
청년의 절반 이상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답해 혼인이 출산의 선행지표라는 공식도 점점 옅어지고 있다.
통계청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36.4%로 나타나 10년 전인 2012년(56.5%) 대비 20.1%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율(50.0%)보다 13.6%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자 28.0%, 남자 43.8%로 10년 전보다 각각 18.9%포인트, 22.3%포인트 낮아졌다. 연령별로는 19∼24세 34.0%, 25∼29세 36.1%, 30∼34세 39.2% 등이다. 결혼 적령기로 꼽히는 30대 초반에서도 결혼에 긍정적인 응답이 과반에 못 미친 것이다.
청년들이 결혼을 주저하는 배경에는 경제적인 요인이 가장 컸다. 청년들이 생각하는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결혼을 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결혼자금 부족(33.7%)이 가장 많았고, 결혼 필요성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상태 불안정(10.2%) 순이었다. 결혼자금 부족을 이유로 꼽은 이들의 비중은 남성(40.9%)이 여성(26.4%)보다 높았다.
반면 결혼을 하지 않더라도 함께 사는 이른바 ‘비혼 동거’에는 찬성하는 이들이 늘었다. 청년층에서 비혼 동거에 동의하는 비중은 2012년 61.8%에 머물렀지만 지난해에는 80.9%에 달했다.
혼인율을 높이면 출산이 늘 것이란 말도 옛말이 되고 있다. 지난해 청년의 절반 이상(53.5%)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2018년 46.4%에 그쳤지만 4년 만에 7.1%포인트 늘었다. 성별로는 여성(65.0%)이 남성(43.3%)보다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다.
결혼을 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늘었다.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 비중은 2012년 29.8%였지만 지난해 39.6%로 증가했다.
2021년 기준 청년들은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육아 부담(46.3%)을 꼽았다. 이어 사회적 편견(18.5%), 불평등한 근로여건(13.8%)이 뒤를 이었다. 여성이 출산·자녀 성장과 상관없이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하는 청년의 비중은 74.0%로 조사돼 10년 전(53.2%)보다 20.8%포인트 높아졌다.
청년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수입(35.8%), 안정성(22.1%), 적성·흥미(19.1%), 근무 환경(9.8%) 순이었다. 청년(19~29세)들이 선호하는 직장은 2011년에는 국가기관(27.7%), 대기업(19.6%), 공기업(19.3%) 순이었으나 2021년에는 공기업(23.2%), 국가기관(20.8%), 대기업(20.2%) 순으로 바뀌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