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 호주의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가 일본에 이어 뉴질랜드까지 참여 가능성을 열었다.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동맹국 및 파트너국과의 다자 구조를 통한 대(對)중국 견제를 예고한 미국이 우선 오커스 범위를 확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보인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윈스턴 피터스 뉴질랜드 외교부 장관은 11일(현지시간) 오커스 등 안보협의체와 관련, “우리는 모든 당사국이 적절하다고 판단할 때 뉴질랜드가 실질적으로 관여할 이유가 강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과 피터스 장관은 이날 워싱턴에서 진행한 회담 뒤 배포한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협의체), 오커스,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와 같은 협정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보, 번영에 기여하고 있다는 견해를 공유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성명은 “우리는 항해의 자유, 분쟁의 평화적 해결, 주권 및 국제규범에 대한 존중 등 역내 번영을 가져온 조건들을 단호하게 지킬 것”이라면서 “미래의 파트너십을 인도하는 이런 원칙은 민주, 개발, 국방, 경제, 정보 등에 의해 뒷받침될 것”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과 피터스 장관은 "양국은 태평양 도서국과 깊은 관계와 헌신을 공유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두 사람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우리가 지지하는 원칙들은 보편적인 것”이라며 “이것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및 나토 파트너인 뉴질랜드, 호주, 일본, 한국 등 인도태평양 4국이나 다른 역내외 메커니즘을 통해 전 세계에서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것을 추동한다”라고 말했다.
오커스 국방부 장관들은 지난 9일 성명을 통해 첨단 군사 역량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오커스 필러 2 분야의 협력 파트너로 일본을 처음으로 공식 거론했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당국자는 오커스 필러 2 분야 협력 대상으로 일본에 더해 한국, 캐나다, 뉴질랜드도 언급한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