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의 계절이 다가오면서 칼로리를 낮춘 ‘제로’ 인기가 어느 때보다 높다. 건강을 즐겁게 관리하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열풍이 소주업계까지 번지면서 알코올 함량을 낮추고 설탕, 칼로리를 빼는 ‘제로’ 제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제로 슈거’(무설탕) 소주의 열량·당류는 일반 소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일 국내에서 판매 중인 5개 제로 슈거 소주를 시험 검사한 결과 제로 슈거 소주에서는 표시대로 당류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일반 소주도 당류가 100mL당 평균 0.12g으로 낮아 제로 슈거 소주로 표시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표시기준에 따르면 식품 100mL당 열량이 4㎉ 미만이면 무열량, 100g당 또는 100mL당 당류가 0.5g 미만이면 무당류 강조 표시를 각각 할 수 있다.
알코올 도수를 고려하면 열량 차이도 크지 않았다. 제로 슈거 소주 열량은 일반 소주에 비해 100mL당 최소 2.85(2.60㎉), 최대 13.87%(14.70㎉) 각각 낮았다.
제로 슈거 소주 알코올 도수가 100mL당 최소 0.5도(2.77㎉)에서 최대 2.6도(14.38㎉) 낮기 때문으로, 당류 함량에 따른 열량 차이는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이런 조사 결과는 소주의 경우 당류와 열량이 제로 슈거가 일반 소주보다 크게 낮을 것이라는 소비자 인식과 대비된다. 실제 소비자원이 성인 2000명을 설문한 결과를 보면 68.6%는 제로 슈거 소주가 일반 소주보다 열량이 크게 낮을 것이라고 답해 현실과 괴리가 상당했다.
소비자원은 또 맥주의 ‘비알코올’(Non-alcoholic)과 ‘무알코올’(Alcohol free) 표기로 인해 소비자가 오인·혼동할 우려가 있음을 지적했다.
식약처 표시기준은 알코올 함량이 0%일 때 무알코올로, 1% 미만일 때는 비알코올로 각각 표시하도록 규정한다. 하지만 현재 비알코올 맥주는 ‘0.0’, 무알코올 맥주는 ‘0.00’ 표시가 널리 쓰인다.

하지만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의 57.2%(1,144명)는 무알코올과 비알코올의 의미 차이를 알지 못했고 52.3%(1,045명)는 비알코올 표시가 알코올이 전혀 없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알코올 맥주는 ‘0.0’, 무알코올 맥주는 ‘0.00’ 표시가 쓰였는데 소비자의 83.0%(1,660명)가 0.0과 0.00의 차이를 알지 못한다고 답해 소비자가 비알코올 맥주를 알코올이 없는 것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더욱 큰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해 미국의 경우, 무알코올임을 상품 라벨에 표시하고 실제 알코올 함량이 0인 경우에만 ‘0.0’ 표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소비자원은 식약처를 비롯한 유관 부처와 비알코올 맥주의 0.0 표시를 빼거나 알코올 함량을 구체적으로 적시하는 방식으로 표시 기준을 개선하는 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반면 음료는 일반 음료와 제로 제품의 열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제로 슈거·제로 칼로리라고 광고하는 음료 20개 제품의 경우 일반 음료와 비교해 열량은 100mL당 평균 39.83㎉(98.14%), 당류는 100mL당 평균 9.89g(99.36%) 각각 낮아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